Page 37 - 고경 - 2016년 6월호 Vol. 38
P. 37

나와 너로 구분된 변견에 뿌리를 둔 진영논리는 자신의 주

          장만이 옳다는 확신에 빠져들게 만들고, 다른 생각에 대한
          구별짓기와 차별로 이어진다. 상황이 여기에 이르면 중재를
          제안하거나 화해를 이야기하는 것도 용납되지 않는다. 상대
          편은 배제와 극복의 대상일 뿐 함께 살아갈 수 없는 존재로
          바라보기 때문에 가차 없이 악으로 규정짓고 단죄하려 든다.

            선악으로 양단된 가치관은 필연적으로 선에 의한 악의 지
          배를 정당화 되고, 선을 명분으로 차별의 담론과 배제의 폭력
          을 합리화 한다. 승찬 대사는 ‘지극한 도는 좋고 싫음을 따지

          는 것에서 벗어나는 것’이라고 했다. 이는 중생들은 좋은 것
          과 나쁜 것을 분별하는 것에 매몰되어 있고, 그로부터 번뇌
          가 일어남을 암시하는 것이다. 실제로 차별변견으로 온 사회
   백련암 마당을 거닐고 있는 성철 스님
          가 갈등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고통 받는 사례를 수 없이 보
          아 왔다. 종교적 갈등이 그랬고, 동서의 이념대결이 그랬다.

 역갈등, 경제적 불평등을 둘러싼 빈부갈등 등 두 편으로 갈  대립과 갈등은 결국 전쟁으로 비화되었고, 수많은 사람들을
 라져 대립하고 충돌하는 사례는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만큼   죽음으로 내몰았다.
 다양하다.

 그러나 갈등의 양상은 비록 다양하지만 결국은 나와 남, 남  ● 존재의 실상과 쌍차쌍조
 과 여, 진보와 보수와 같은 이분법적 대립으로 압축된다. 세  그렇다면 이와 같은 차별과 변견의 골을 어떻게 넘을 수 있
 상을 두 편으로 나누고, 어느 한 편에 서서 바라보는 것을 ‘변  을까? 부처님은 그와 같은 대립과 갈등을 해소할 방법으로
 견 (邊見)’이라고 한다. 변견은 극단적 시선이므로 자신이 속한   중도(中道)의 길을 제시했다. 중도는 이분법적 사유에 뿌리를

 쪽과 반대편을 둘로 나누는 진영논리로 발전한다. 진영논리  둔 양변을 초극하는 것이며, 대립하고 갈등하는 진영논리를
 는 복잡한 현상을 양자대결로 단순화시키고, 다양한 관점과   해체하는 것이며, 화해와 공존의 길을 제시하는 가르침이다.
 주장을 이분법적 대립구도로 몰아간다.  문제는 어떻게 중도를 실현하는가이다. 이에 대해 천태 대



 34  고경   2016. 06.                                         35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