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고경 - 2020년 7월호 Vol. 87
P. 65
수한 절대 또는 최고의 지혜의
힘인 진실을 상징하게 되었다.
또한 모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게 해 주기 때문에 밀교에서
는 마음의 번뇌를 없애주는 상
징적인 의미로 수용되었고 수
사진 5. 네메아 산의 사자를 죽이는 헬라클레스, 간다 행법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라(1세기), 메트로폴리탄박물관.
금강저에 대한 불교 경전의
기록으로는 중국 오나라의 지
겸 스님이 3세기 경에 번역한
『수마제녀경』에 처음으로 밀적
역사의 지물로 등장한다. 서진
시대에 번역된 『법구비유경』에
서는 불을 켜는 발화發火의 용
구로 금강저가 기록되어 있으
며, 법현 스님의 인도 구법 순
사진 6. 보리수 아래로 향하는 부처님께 길상초를 바치 례기인 『불국기』와 현장 스님의
는 솟띠야, 간다라(1-2세기), 페샤와르박물관.
『대당서역기』에도 나타나고 있
다. 우리나라와 일본을 비롯한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유행한 금강저
의 형태는 중간 부분이 잘룩하게 좁혀진 손잡이로 되어 있고 양 끝은 창
끝처럼 길게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고대 인도나 간다라에서 제석천이나
금강역사의 지물로 등장하는 금강저의 형태는 우리나라의 것과는 다르게
위아래가 넓고 가운데가 좁은 형태를 하고 경우가 많다(사진 6).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