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 - 고경 - 2021년 1월호 Vol. 93
P. 7

를 해야 할 과제로 설정했습니다. 이를 위해 “연구기관을 설립하고 불교학
            에 대한 전문 학술지를 간행 할 것”을 공언했습니다. 그런 다짐을 실천하기
            위해 성철사상연구원의 활동을 꾸준히 진행해 왔고 학술연찬회도 매년 개

            최해 성철 큰스님의 가르침에 대한 조명과 불교학 발전에 기여하고자 노력

            해 왔습니다. 그러나 성철 종정예하께서 1993년 11월 열반에 드시고 10여
            년의 세월이 지난 뒤 불교학계에서 돈점논쟁에 대한 발표도 점점 드물어지
            고, 보조 국사를 연구했던 1세대 학자들도 세상을 떠났습니다. 2006년 들

            어 제16집을 끝으로 『백련불교논집』을 정간하게 되었습니다.

              지나고 보니 창간 때 공언했던 다짐을 지키지 못한 것이 마음 한구석에
            큰 아쉬움으로 남아 있었습니다. 그러던 차 조병활 박사가 10여 년 공부하
            고 돌아와 성철사상연구원 원장으로 부임해 성철 큰스님과 불교학 연구에

            대한 계획을 다시 입안하고, 서재영 박사가 결합하여 학술연구의 실무를

            맡으며 가슴에 담아 두었던 계획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조병활 박사는 그동안 월간지 『고경』을 통하여 2년 여 동안 『조론』 본문
            과 위진남북조·수·당·송·명대의 주석서들을 번역했으며 티베트불교 관련

            책도 우리말로 몇 권 옮겼습니다. 그리고 지난해 10월24일 중앙신도회 3층

            회의실에서 ‘퇴옹성철 스님의 불교관 연구 1’이라는 주제로 추계 학술연찬
            회를 열었는데, 기조발제자인 조병활 박사가 「퇴옹성철의 불학체계와 그 특
            징」을 발표했습니다. 그 논문을 읽다가 눈물이 왈칵 쏟아졌습니다. 어느 누

            구도 큰스님의 귀중한 저서인 『백일법문』, 『선문정로』, 『본지풍광』 등 세 권

            을 중심으로 성철 큰스님의 사상을 일목요연하게 분석·정리한 적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추계 학술연찬회를 마치고 조병활 원장이 그동안 준비해온 일들을 보고

            했습니다. 보고를 받고 “성철 큰스님의 법문과 정보, 성철사상연구원의 학



                                                                         5
   2   3   4   5   6   7   8   9   10   1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