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고경 - 2023년 7월호 Vol. 123
P. 85

행자가 함께하는 살아 숨 쉬는 실천의 무형문화재다. 살아 있는 동안[生前]
             에 자신의 업業을 미리 닦는[預修] 의례이자 수행인 생전예수재는 부처님의
             가르침인 수행과 회향, 보시 등을 통해 공덕을 쌓는 의식이다. 고려시대부

             터 시작되었으니 그 역사도 오래되었다.

               ‘예수預修’란 자신의 공덕을 미리 닦는다는 의미이다. ‘재齋’는 사바세계
             에 태어난 이상 누구나 반드시 죽음을 맞게 되므로, 고인이 된 사람을 위
             해서 명복을 빌어 극락세계로 인도하거나 다음 생을 맞이할 때 더 나은 삶

             이 될 수 있도록 공덕을 쌓아 주는 예식이다.

               윤달閏月에 행해지는 ‘생전예수재’는 일반적으로 행해지는 재와 구분되
             는 차별성을 가진다. 고인이 된 타인을 위해 재의식을 치르는 것이 아니라
             바로 자기 자신을 위한 재의식이라는 점이다. 쉽게 풀이하자면 살아생전

             에 자기 자신의 명복을 빌어 덕업을 쌓는 예식인 것이다.



                윤달에 열리는 생전예수재



               윤달은 태음력太陰曆에서 일 년 열두 달 외에 불어난 어느 한 달을 말하

             며, 평년보다 한 달이 더 있다고 해 ‘공달[閏月]’, ‘덤 달’, ‘남은 달’이라 부른
             다. 윤달을 무탈한 달로 여겨 “사람의 목숨을 관장하는 신神의 눈을 가려
             노여움을 살 만한 일을 해도 아무런 장애나 거리낌이 없다.”라고 여겼다.

             그래서 윤달에 중요하거나 꺼려 왔던 일을 치렀다. 수의壽衣를 짓거나 조

             상의 묘를 이장하기도 하고 이사를 가거나 혼례를 올리기도 했다. 그리고
             부처님께 불공을 올리기도 하였다.
               윤달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 봉은사의 예수재에

             관련한 구체적인 기록이 있다.



                                                                          83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