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고경 - 2015년 5월호 Vol. 25
P. 47

정체성의 근거라고 믿는 마음도 실체가 없기에 ‘무아(無我)’

          이다. 마음이라는 것도 인연 따라 만들어진 인식이기 때문
          이다. 결국 욕망이나 번뇌도 내 속에 본래부터 있었던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자성은 본래 청정하다

            그렇다면 욕망은 ‘나의 외부에’ 존재하는 것일까? 인식은
          감각기관과 객관과의 관계 속에서 생성하는 것이므로 나와
          무관하게 밖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어떤 사람은 루이뷔

          통 백을 보고 욕망하지만 어떤 사람은 아무런 욕망도 일으
          키지 않는다. 만약 욕망이 밖에 있는 것이라면 욕망의 대상
          을 보는 모든 사람은 동일한 욕망을 일으켜야 하지만 실상
          은 그렇지 않다.
            이렇게 욕망이나 번뇌가 본래부터 내 속에 내재하지 않

          으며 그 본성이 깨끗한 것을 ‘청정 (淸淨)’이라고 한다. 그리고
          욕망이나 번뇌는 감각기관이 객관대상을 만나서 생겨나는
          것이므로 이를 ‘수번뇌 (隨煩惱)’라고 한다. 대상이라는 조건

          에 따라 발생한 번뇌라는 뜻이다.
            『남전대장경』 ‘증지부’에는 “비구들아, 이 마음은 극히 청
          정하고 빛난다. 그러나 이것은 객 (客)의 수번뇌에 물들었다.”
          라고 설해져 있다. 인간의 본성은 본래 맑고 깨끗한데 밖에
          서 들어온 번뇌에 오염되어 맑고 깨끗한 성품이 빛을 잃었

          다는 것이다. 마치 하늘은 유리알처럼 투명한데 먹구름에
          가려 태양의 빛이 보이지 않는 이치와 같다는 것이다.


 44  고경  2015.05.                                           45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