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고경 - 2015년 9월호 Vol. 29
P. 49

다. 그는 교단 안팎에서 벌어지고 있는 왜곡된 사상에 맞서   적인 자성이 없으므로 공하다고 설한 것입니다.”

 치열한 사상투쟁을 펼쳤기 때문이다. 내적으로는 부파불교  공사상은 허무주의나 완전한 무를 주장하는 것은 아니었
 의 실유론(實有論)을 신랄하게 비판하고, 밖으로는 정통 바  다. 반야의 공은 아무 것도 없다는 절대 무나 회의주의가 아
 라문교 등 외도사상에 맞서 치열한 삶을 살았다.  니라 오히려 존재의 실상을 정확히 꿰뚫어보는 것이다. 존재
 용수가 활약할 당시 인도의 사상계는 수론(Sāmkhyā), 승  의 본성을 꿰뚫어보면 각각의 사물은 자기의 본성 [自性]이
 론(Vaiśeṣika), 정리파(Nyāya) 등의 사상이 발전하고 있었는  공하다. 하지만 그것은 완전한 무가 아니라 연기(緣起)라는

 데 이들 사상은 모두 존재의 실체를 인정하는 실유론에 입  관계망을 통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각해 있었다. 이와 같은 사조는 불교라고 해서 예외가 아니  중관사상의 근본이 되는 문헌은 불멸 약 500년경에 탄생
 었다.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를 비롯해 여러 부파들 또한 실  한 『중론』이다. 약 450구의 게송으로 구성된 『중론』의 핵심

 유론적 교설을 주장하고 있었다. 용수는 당대를 풍미하던   내용은 연기 (緣起), 무자성(無自性), 공(空)으로 압축할 수 있
 이런 사상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왜곡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다. 용수는 “여러 인연으로 생한 법 [衆因緣生法]은 곧 공이며,
 여기서 용수는 파사현정 (破邪顯正)의 깃발을 높이 치켜들  또한 가명 (假名)이며 또한 중도(衆道)”라고 정의했다. 개체 존
 었다. 당시 사상계를 주름잡고 있던 실유론적 사상이 논파  재의 본성은 텅 비어 있음으로 개체적 존재의 자성은 실체가
 할 사견 (邪見)이라면 불교의 중도사상은 현창해야할 정법이  없다. 그렇다고 존재가 완전히 없는 절대 무는 아니다. 독립

 었다. 이에 용수는 반야의 공사상에 입각하여 당대를 풍미  적 실체로서 자성은 없지만 우리들 눈앞에는 수많은 존재들
 하던 실유론을 여지없이 논파하기 시작했다. 용수의 공사상  은 분명히 있다. 용수는 이를 가명, 즉 거짓 이름으로 존재하
 은 왜곡된 사견을 혁파하고 정법의 깃발을 드는 것이었기에   는 것이라고 했다. 그래서 『중론』에서 말하기를 “공하지만 단

 맹목적 부정과 허무주의를 지향하는 것은 아니었다. 그래서   절됨이 아니요(雖空而不斷), 상속하지만 항상함은 아니다(雖有
 성철 스님은 용수의 사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而不常).”라고 했다. 개체적 존재는 공하지만 그렇다고 없는 것
 “단순히 모든 것을 부정하는 허무주의도 아니고, 도피와   이 아니며, 눈앞에 가로써의 존재가 있지만 그것은 영원한 실
 체념에 사로잡힌 회의주의도 아니며, 결코 아무 것도 존재  체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처럼 존재는 있음도 아니고, 그렇다
 하지 않음을 뜻하는 무(無)도 아닙니다. 그의 공사상의 근저  고 없음도 아니기 때문에 존재 자체가 중도이다.

 에는 어디까지나 연기를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곧 연기하여   『중론』에 등장하는 이와 같은 세 가지 명제는 후대 불교
 생겨나는 일체의 법은 고유한 본성, 즉 자성이 없으며, 고정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삼제게로 불리는 공가중(空


 46  고경  2015.09.                                           47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