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 - 고경 - 2015년 10월호 Vol. 30
P. 47
『명추회요』, 그 숲을 걷다
에 구경무심경(究竟無心境)이 현전하여 약과 병이 전부 소멸
되고 교와 관을 다 휴식하느니라.”는 『종경록』 「표종장」의 문
첫 번째 걸음, 성철 스님이 보신 구를 성철 스님께서 『종경록』을 직접 보고 인용하신 것인지,
아니면 『종경록』의 촬요본인 『명추회요』를 보고 인용하신
『명추회요』의 자취를 찾아 것인지 하는 데 있었다.
왜냐하면 『종경록』은 권수만 해도 100권에 달하는 방대
한 분량이므로 이 책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아서 인용한다
_ 박인석 는 것은 무척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라 생각되었
기 때문이다. 또한 『선문정로』 앞부분에서 성철 스님은 『종
경록』뿐 아니라 그것의 촬요본인 『명추회요』 역시 소개하고
있으므로, 필자는 성철 스님께서 『종경록』의 촬요본인 『명
추회요』를 보고 『선문정로』에다 『종경록』의 문구를 인용하
시지는 않으셨을까 하는 추측도 해보았다.
<선림고경총서> 2집으로 올해 7월에 간행된 『명추회요』의 이런 생각들을 하며 백련암에 도착했는데 원택 스님께서
해제를 쓰기 위해 필자는 5월 초에 백련암을 방문하였다. 그 반갑게 맞아주셨다. 스님께서는 성철 스님께서 보시던 고서
곳에 소장된 성철 스님의 고서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가 있는 서고의 문을 열어주시면서 그 속에 있는 책들을 열
필자가 무척 궁금하게 여겼던 점은 성철 스님께서 쓰신 람하게 해주셨다. 필자는 2013년에 작성된 목록을 통해 백
『선문정로』의 제1장에 가장 먼저 인용된 “견성을 하면 즉시 련암에 모두 다섯 질의 『종경록』이 소장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섯 질 가운데는 지금도 해인사 장경각에 보관
되어 있는 목판본 『종경록』에서 찍은 인출본이 하나를 차지
이번 호부터 동국대 불교학술원 박인석 교수님의 ‘『명추회요』, 그 숲을 걷다’
연재를 시작합니다. 박 교수님은 ‘영명연수 『종경록』의 일심사상 연구’로 박 하고 있었고, 또 그것을 저본으로 삼아 활자로 찍은 일본의
사학위를 받았으며, 최근 백련불교문화재단에서 펴낸 『명추회요』의 ‘해제’를 대정신수대장경에 수록된 『종경록』이 또 하나를 차지하고
집필하기도 했습니다.
박 교수님은 이번 연재를 통해 『명추회요』의 전반을 독자 여러분께 쉽게 전 있었다. 나머지 세 질 가운데 두 질은 중국에서 찍어낸 가흥
할 계획입니다. - 편집자
대장경에 들어 있던 『종경록』이고, 마지막 한 질은 조선말에
44 고경 2015. 10.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