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고경 - 2015년 11월호 Vol. 31
P. 50
이 등장한다. 삼세란 아주 미세한 세 가지 망념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러한 미세한 망념까지도 남김없이 소멸되어야 ‘무
념 (無念)’ 혹은 ‘무심(無心)’이라 부를 수 있다는 말씀이다.
스님께서 교종(敎宗)의 권위라고 칭한 신라의 원효와 당의
법장 두 사람은 모두 『대승기신론』에 대한 해설서를 남겼다.
원효의 해설서인 『기신론소』가 먼저 성립되었고, 이후 법장
이 원효의 책을 참조해서 자신의 『대승기신론의기』를 집필
했다는 점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이 중에서 중국 화엄종
의 대가인 법장 역시 이 삼세 개념을 사람들에게 이해시키
는 것에 무척 어려움을 느꼈던 것으로 보인다. 이해가 잘 되
성철스님 평석 『선문정로』
지 않는 개념일수록 적절한 ‘비유’가 요청되는데, 삼세, 곧 세
가지 미세한 망념에 대해 법장이 든 비유는 아주 가깝고 친
같은데, 스님께서 직접 번역하신 내용을 적어보자. 절하다. 이를 한 번 살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우선 법장은 ‘멀쩡한 눈’을 ‘본래 깨달은 상태’에 비유하고,
견성(見性)을 하면 즉시(卽時)에 구경무심경(究竟無心境) ‘열병’을 ‘무명’에 비유하였다. 그래서 가장 최초로 열병이 눈
이 현전(現前)하여 약과 병이 전부 소멸되고 교(敎)와 관 에 들어와서 멀쩡한 눈을 건드리는 것을 세 가지 미세한 망
(觀)을 다 휴식(休息)하느니라. (『종경록』 1 「표종장」) 념 가운데 첫 번째인 ‘업상(業相)’으로 보았다. 여기서 ‘업’은
아주 미세한 움직임을 의미한다. 『대승기신론』에서는 본래
먼저 눈에 띄는 것은 한문 원문의 ‘재득견성 (纔得見性) 당 깨끗한 세계에 문득 무명의 바람이 불어 본래의 상태가 살
하무심 (當下無心)’ 가운데 ‘무심’을 스님께서 ‘구경무심경’으로 짝 움직였다고 표현한다. 법장은 멀쩡한 눈에 열병이 생겨
풀어 놓은 점이다. 이는 ‘아주 궁극적인 무심의 경계’라고 새 ‘병든 눈’이 생기는 것을 세 가지 미세한 망념 가운데 두 번
겨볼 수 있을 것인데, 그것이 어느 정도냐 하면, “삼세(三細) 째인 ‘능견상(能見相)’으로 보았다. ‘능견상’이란 ‘보는 주체’를
의 극미망념(極微妄念)까지 멸진무여(滅盡無餘)”하는 것을 가 가리킨다. 다음으로 병든 눈으로 인해 눈앞에 실체가 없는
리킨다. 여기에는 『대승기신론』에 나오는 아주 어려운 개념 허공 꽃이 나타나는 것을 세 가지 미세한 망념 가운데 마지
48 고경 2015. 11. 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