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 - 고경 - 2017년 3월호 Vol. 47
P. 46
하루 한 끼의 식사만 하고 있었다. 수행이 높아질수록 걸치던
옷도 다 벗어버리므로, 이들을 가리켜 천의파(天衣派)라 부르
기도 한다. 하늘을 옷 삼아 다닌다는 말이다. 이들의 수행은
단적으로 고행이다. 그들의 고행을 보면, 음식을 적게 먹는 것
에서부터 시작해서, 수개월에 한 번씩 머리카락과 수염을 손
으로 몽땅 뽑는 것도 들어가 있다.
머리카락을 뽑혀본 경험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 수
있듯이, 한두 가닥만 뽑혀도 따끔한데, 수십 가닥이 한꺼번에
뽑히면 그 고통을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그런데, 자이나
교도들은 가령 수염을 뽑다가 고통에 눈물이라도 흐르면 수
행이 부족한 것으로 간주되므로, 그 고통이 아무 것도 아니라
고 관찰하면서 잘 참는 것으로 보였다. 또 최근 인도의 자이 말한다. ‘나’에 대한 이 두 종류의 집착은 그 뿌리가 무척이나
나교 가정에서 13세 소녀가 68일간 단식한 뒤 세상을 떠나는 깊기 때문에 거의 모든 불전에서 무아(無我)를 강조하는 것으
일이 발생했는데, 자이나교도들은 이 소녀를 성인으로 받들기 로 보인다.
도 했지만, 인도 경찰은 이를 수사하고 있다고 한다.
불교의 입장에서 본다면, 자이나교는 ‘자아’에 대해 바른 견 무아(無我)의 진실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
해를 세우지 못하였으므로, 그들의 행동 역시 극단적인 단식 『명추회요』에 인용된 귀신과 시체에 대한 얘기는 본래 인
이나 고행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인도 철학의 여 도의 용수 보살이 지은 『대지도론』에 나온다. 『대지도론』을
러 학파들과 같이 자아에 대해 그릇된 사상을 학습함으로 인 보면, “어떤 경우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해 ‘나’라는 생각을 일
해 잘못된 행동을 하기도 하지만, 모든 살아 있는 존재들은 으킨다.”라는 구절 다음에 귀신 둘이 시체를 두고 다투는 내
기본적으로 ‘나’를 붙잡고 그것을 보존하려는 본능적인 의지 용이 나오므로, 귀신 얘기가 ‘나’에 대한 여러 가지 집착 가운
를 지니고 있다. 전자를 분별아집 (分別我執)이라고 하고, 후자 데 다른 사람의 몸에 대해 ‘나’라는 생각을 일으키는 경우에
를 구생아집 (俱生我執)이라고 한다. 분별이란 후천적으로 배워 해당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매우 이상스럽게 들리겠지
서 익혀진 것이고, 구생이란 나면서부터 있는 본능적인 것을 만, 아래 내용을 보면 금방 이해될 수 있다. 먼저 『명추회요』
● 고경 2017. 0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