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고경 - 2018년 1월호 Vol. 57
P. 13

이에 왕자(대사)가 말하였다.  그 후 이견왕(異見王)이 삼보를 가볍게 여기고 훼손하자 종
 “이는 세상의 보배이므로 최상의 보배라 할 수 없으니 보배   승(宗勝)이 남몰래 왕의 처소를 찾아가 불법의 요지를 자세히
 가운데 법보(法寶)가 으뜸이오며, 이는 세상의 빛이므로 최상의   설명하고 이리저리 따져 물었다. 대사는 멀리서 종승의 논리가

 빛이라 할 수 없으니 빛 가운데 지혜의 빛이 으뜸입니다. 또한   잘못되었음을 알고 급히 바라제 (婆羅提)에게 말하였다.

 세상의 밝음이라 최상의 밝음이라 할 수 없으니 밝음 가운데   “네가 속히 종승을 구하도록 하라.”
 마음의 밝음이 으뜸입니다. 이 구슬의 빛과 밝음으로는 스스  바라제가 “신통력을 빌려주셨으면 합니다.”라고 하니 그 말
 로를 비출 수 없고 지혜의 빛을 빌려야 빛인 줄로 판명됩니다.   이 끝나자마자 발아래 구름이 피어오르고, 그는 구름을 타고

 그렇게 판명되고 나서야 구슬인 줄 알게 되고, 구슬인 줄 안   왕 앞에 가서 아무 말 없이 서 있었다. 왕은 때마침 종승에게
 다음에야 그것이 보배임이 밝혀집니다. 이것이 보배로 밝혀지  질문을 하다가 갑자기 구름을 타고 오는 바라제를 보고 깜짝

 면 보배는 그 자체가 보배가 아니며, 그것이 구슬로 판명되면   놀라 문답마저 잊고서 이렇게 물었다.
 구슬은 그 자체가 구슬이 아닙니다. 구슬을 구슬이라 하지 않  “공중에 날아오는 이는 정도(正道)인가, 사도(邪道)인가?”

 는 것은 지혜 구슬을 빌려야 세상의 구슬인 줄 알 수 있기 때  “나는 바른 것을 삿되게 하려는 것이 아니라 삿된 것을 바르
 문이며, 보배를 보배라 하지 않는 것은 지혜 보배를 빌려야 법  게 하러 왔소만 왕의 마음이 바르다면 나에겐 삿됨도 바름도

 보인 줄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존자께 도가 있다면   없을 것이오.”
 그 보배는 그대로 나타날 것이며, 중생에게 도가 있다면 마음  왕은 그의 말에 놀라면서도 자만심이 타올라 종승을 쫓아

 의 보배 역시 나타날 것입니다.”  버렸다. 그러자 바라제가 말하였다.
 존자는 왕자의 논변과 지혜에 감탄하여 이름을 ‘보리달마’  “왕에게 도가 있다면 어찌하여 사문(沙門)을 쫓아내시오? 내

 라 바꿔 부르게 되었고, 왕자(대사)는 향지왕이 세상을 떠난 후   비록 아는 것은 없지만 왕은 무엇이든 물어보시오.”
 드디어 출가하였다. 1)   이에 왕은 화를 내며 물었다.

                 “어떤 사람이 부처입니까?”

 1)   반야다라존자와 보리달마대사의 인연담과 출가 이야기는 『종경록(宗鏡錄)』을
 비롯하여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등 오등록(五燈錄)에서 먼저 전해지고 있  사 전기에 포함되어 있는 반면, 나머지 대부분의 전등록류에서는 반야다라존자
 다. 다만 『종경록』과 『가태보등록(嘉泰普燈錄)』에서는 이 이야기가 보리달마대  의 전기에 포함되어 있다.



 10            2018. 01.                                               11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