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고경 - 2018년 4월호 Vol. 60
P. 37

내용을 살펴보자.     무엇인지’를 다시 한 번 물어보는 것이다. 선사는 “그럴 만한 것

               이 없다”고 짧게 답하였다. 그러나 묻는 사람은 여전히 납득이
 【물음】 필경에는 어떠한가?  잘 되지 않는 모양이다. 그는 계속해서 그간 배운 것을 통달한

 【답함】 필경이랄 것도 없다.  다음에는 어떤 방식으로 실천해야 할지를 묻는다. 이에 대해
 …             서도 선사는 “누구에게 실천하라고 하는가?”라고 되묻고 있다.

 【물음】 이것으로 밝게 통달한 후에는 어떻게 실천해야   깊은 강물은 소리가 나지 않는 것처럼, 이치에 통한 이들은 ‘나’
 하는가?          라는 자취 역시 털어버리는 것 같다. 하지만 묻는 자는 마치

 【답함】 누구에게 실천하라고 하는가?  얕은 개울물이 요란한 소리를 내듯 여전히 ‘나’에 사로잡혀 있
 【물음】 단멸에 떨어지는 것은 아닌가?  는 모습을 보인다. 실천할 사람이 없다면 아무것도 없는 단멸

 【답함】 오히려 상주할 수도 없는데, 어떻게 단멸하겠는가.  (斷滅)에 떨어지는 것이 아닌지 또 걱정이 되었던 것이다. 이에
 【물음】 최후의 한 말씀을 청하노라.  대해 선사는 자신의 입장이 상주(常住)와 단멸(斷滅)의 두 극단

 【답함】 허깨비가 환사(幻士)에게 묻고  을 떠나 있음을 다시 부각시킨다. 아마 이런 질문은 끝도 없이
 골짜기의 메아리가 샘물 소리에 답한다.  이어질 수 있을 테지만, 이쯤 해서 묻는 사람도 진짜로 ‘최후의

 나의 종지를 통달하고자 하는가.  한 말씀’을 청하는 것으로 자신의 물음을 마무리하고 있다. 선
 진흙 소가 물 위로 가는구나.  사 역시 구구절절하게 말씀하는 대신, 게송 하나를 들 뿐이다.

                 게송의 전반부에 나오는 허깨비나 환사(幻士) 모두 실체가
 위와 같이 신속하게 이어지는 문답을 보면, 질문하는 사람에  없는 존재를 가리키고, 골짜기의 메아리 역시 샘물 소리에 응

 게는 풀리지 않는 의문이 여전히 잔뜩 있음이 느껴진다. 100권  해서 소리를 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후반부에서
 의 분량 동안 계속 묻고 답을 들었지만, 여전히 알 수 없는 뭔  선사는 자신의 종지를 통달하고자 하려는 이들에게 다음과

 가가 있는 것이다.    같은 하나의 관문을 펼쳤다. “진흙 소가 물 위로 가는구나.” 생
 처음의 물음에 나온 ‘필경’이란 가장 궁극적인 것을 가리킨  각의 길도 막히고 말의 길도 막힌 이 관문을 어떻게 통과할 것

 다. 이는 100권 마지막에 이른 상태에서 ‘가장 궁극적인 것이   인가? 꽉 막힌 데서 활로(活路)를 모색해 보라는 데 선사의 의



 34            2018. 04.                                               35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