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고경 - 2018년 5월호 Vol. 61
P. 32
『명추회요』, 그 숲을 걷다
가파른 직선 코스는 물론 완만하게 돌아가는 길도 있어야 한
다. 동쪽에서 올라가는 길도 있어야 하고, 서쪽에서 올라가는
길도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상에서 보면 하나의 문[一門]은 열
『종경록』과 한국불교
개의 문으로 확산되고, 아래에서 보면 열 개의 문은 정상이라
는 하나로 수렵된다. 하나가 곧 일체이고 일체가 곧 하나이니,
서로 상즉상입해서 걸림 없이 자유로운 사사무애연기로 확장 글│박인석(동국대 불교학술원 조교수)
되는 것이 십현문이다.
주반원명구덕문을 통해 얻는 가르침은 존재의 실상에 대한
것만이 아니다. 우리들에게 주는 또 다른 가르침은 주인공으 ○●○
로 당당히 살아가라는 것이다. 나는 무수한 조연들의 도움으 2015년 8월에 출판된 『명추회요』의 내용을 한
로 지금 이 순간 주인공으로 살고 있다는 자부심을 가져야 한 가지씩 소개하는 연재가 벌써 서른두 번째에 이르렀다. 방대한
다. 하지만 그런 자부심이 타자에 대한 오만이 되어서는 안 된 내용이지만 한두 가지씩 쓰다 보니 벌써 마무리할 시점에 도
다. 지금 이 순간 나는 주인공으로 살고 있지만 내가 주인공으 달한 것이다. 그래서 이번에는 『명추회요』와 『종경록』의 안이
로 살 수 있도록 해주는 무수한 조연들 역시 또 다른 주인공임 아닌 바깥에 서서 이 책이 지닌 가치를 한번 짚어보고자 한다.
을 알아야 한다. 그런 이치를 깨닫고 실천할 때 우리는 매 순간 필자는 5월 초에 중국 무한대학(武漢大學)에서 열리는 선종
주반원명구덕문으로 들어가고, 너와 내가 어깨동무를 하고 함 학술대회에 초청을 받아 발표를 할 계획인데, 발표의 주제는
께 걸어가게 된다. 영명연수의 선사상이 한국불교에 끼친 영향에 대한 것이다. 발
표를 마치면 무한에서 한 200킬로미터 떨어진 황매산(黃梅山)
답사에도 참여할 예정이다. 황매산은 오조 홍인대사의 주석처
서재영 로, 육조 혜능이 처음 구도의 마음을 먹고 찾아갔던 곳이기도
—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선의 생태철학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 연구교수, 조계종 불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불교신문 논설위원 등을 거쳐 현재 불광연구 하다.
원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 『선의 생태철학』 등이 있으며, 포교 사이트 www.buruna.org
영명연수 선사는 긴 한국불교의 흐름에서 본다면 그동안 그
를 운영하고 있다.
30 2018. 0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