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고경 - 2020년 8월호 Vol. 88
P. 19

이 증애심이 실제로 완전히 떨어지려면 대오大悟해서 대무심大無心  경
                                                                      3)
            계를 성취해야 합니다. 무심삼매에 들어가기 전에는 경계에 따라서 계속
            증애심이 발동하므로 이 병은 참으로 고치기 어려운 것입니다.

              그러나 우리 불자들은 대도를 목표로 하므로 부처님 말씀을 표준삼아

            이것이 생활과 행동의 기준이 되어야 합니다. 또 한편으로 생각하면 내가
            가장 미워하는 사람, 나에게 가장 크게 죄를 지은 사람을 부모와 같이 섬
            겨라 하는 것은 무리한 요구일 것입니다.

              ‘나쁜 사람을 용서하라’거나 ‘원수를 사랑하라’는 것은 또 모르겠지만 원

            수를 부모같이 섬기라 하니, 이것은 부처님께서나 하실 수 있는 말이지 다
            른 사람은 감히 이런 말조차 못 할 것입니다.
              그런데 사실 불교에서는 ‘용서’라는 말 자체가 없습니다. 용서라는 말이

            없다고 잘못한 사람과 싸우라는 말은 물론 아닙니다. 상대를 용서한다는

            것은 나는 잘했고 너는 잘못했다, 그러니 잘한 내가 잘못한 너를 용서한다
            는 이야기인데, 그것은 상대를 근본적으로 무시하고 하는 말입니다. 상대
            의 인격에 대한 큰 모욕입니다.

              불교에서는 ‘일체중생의 불성은 꼭 같다[一切衆生, 皆有佛性]’ 고 주장합니
                                                              4)
            다. 성불해 연화대 위에 앉아 계시는 부처님이나 죄를 많이 지어 무간지
            옥無間地獄에 있는 중생이나 자성 自性 자리, 실상實相은 똑같습니다. 그래서
            아무리 죄를 많이 짓고 아무리 나쁜 사람이라도 겉을 보고 미워하거나 비

            방하거나 한층 더 나아가서 세속말의 용서는 할 수 없습니다.






            3)  제육식第六識 차원의 생멸심生滅心만 단절한 것이 아니라 생사윤회의 뿌리인 제8 아뢰야식에 내재된 근
             본무명까지 모두 끊어진 경지.
            4)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T12, p.404c.



                                                                        17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