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9 - 고경 - 2021년 5월호 Vol. 97
P. 59

월광보살을 그린 「약사여래
             삼존도」, 셋째는 약사 삼존
             과 함께 보살중菩薩衆·십이

             지신상十二支神像 등을 함께

             그리는 「약사여래회상도」,
             그리고  넷째로는  동방유리
             광東方琉璃光세계의  모습을

             묘사한  동방정토변상도東方

             淨土變相圖이다. 이 가운데
             신행의  대상으로  조성되는
             경우는 「약사여래회상도」 형

             식이 가장 많다.

               삼존도로 대표적인 것은
             1565년(명종 20)에 양주 회암
             사檜巖寺에서 그린 국립중앙

             박물관  소장본(사진  1)이다.

             그리고 현재 한국의 사찰에             사진 1. 양주 회암사 약사삼존도(국립중앙박물관소장).
             봉안 되어 있는 일반적인 형식의 「약사여래회상도」로는 송광사 「약사전 약
             사여래회상도」(사진 2)와 통도사 「약사전 약사여래회상도」(사진 3) 등이 있으

             며 대웅보전의 삼세불회탱으로 조성된 경우로는 기림사 「대적광전 약사불

             회탱」(사진 4)과 직지사 대웅전 「약사여래회상도」, 운흥사 「대웅전 약사여래
             회상도」(사진 5), 대흥사 「대웅보전 약사여래회상도」 등이 전하고 있다. 그러
             면 1740년에 조성된 <사진 2>의 송광사 「약사전 약사여래회상도」를 위주로

             약사여래회상도의 의미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57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