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 별책부록
P. 3

차 례


                          중도中道의 철학적 의미


                          -성철·원효·붓다에  기대어-


           1. 성철과 원효  …………………………………………………………………………………… 5



           2. 탐구의 방법론 ………………………………………………………………………………… 7


           3. 성철과 원효의 중도관 …………………………………………………………………… 22
             1) 성철의 중도관 ……………………………………………………………………………… 22
             2) 원효의 중도관 ……………………………………………………………………………… 25


           4. 중도의 철학적 의미  ……………………………………………………………………… 46
             1) 중도의 대상 - 유有‧무無와 차이[相]들  ……………………………………………… 46
             2) 중도의 문제 해결력 - ‘차별된 차이’에서 ‘사실 그대로의 차이’로  ……………… 50
               붓다의 경우  ………………………………………………………………………………… 51
               원효의 경우  ………………………………………………………………………………… 61
               성철의 경우   ………………………………………………………………………………… 69
             3)  중도의 체득 방법론  ……………………………………………………………………… 77
               - 이해와 마음, 육근수호와 정지正知, 일심一心, 간화선看話禪
             4) 육근수호의 ‘알아차리기’(正知, sampajānāti)와 중도의 체득 ………………………… 78
             5) 원효의 일심一心과 중도의 체득  ………………………………………………………… 93
                 - ‘이해와 마음의 통합 지평[一心]’과 중도의 체득 -

             6) 성철의 간화선과 중도의 체득- 선종의 선관禪觀과 중도의 체득 -  ………………100
             7) 선종禪宗 선관禪觀을 읽는 독법讀法 ………………………………………………………104
             8) 성철 상당법문上堂法門의 음미 - 『본지풍광本地風光』과 선종의 선관  ……………114


           5. 중도에 대한 철학적 독법이 여는 길  ………………………………………………123
   1   2   3   4   5   6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