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 별책부록
P. 8

을 탐구하려면 우선 방법론에 대한 성찰과 선택을 예비해야 한다. 방법론 여하에
          따라 탐구내용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치밀하고 방대한 구성으로 직조된 지혜의 거

          대 언어체계를 남긴 성철이나 원효의 언어를 탐구하는 경우에는 특히 그러하다.
           불교학 범주에서 현재 가장 널리 채택되는 방법론은 문헌‧교학적 방법론이

          다. 문헌의 형성‧유통과 내용에 대한 문헌학적 탐구 성과를 교학 탐구와 결합시
          켜 진행하는 연구방법론이다. 언어학‧문헌학적 지식을 토대로 교학들의 형성

          과정, 내용과 특징, 이론체계, 교학 이론의 사상사적 위상, 교학의 의미 등을 탐
          구하는 이러한 방법론은 불교학 연구방법론의 주류를 차지하고 있다.

           누구라도 관심만 있으면 붓다의 법설과 그에 대한 후학들의 모든 이해를 계보
          적으로 탐구할 수 있게 된 환경이 갖추어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특히 대중 학인

          들은 수십 년 전만 해도 만날 수 없었던 환경이다. 붓다의 길에서 피어난 모든 꽃
          을 누구나 원하는 대로 즐길 수 있게 된 것이다. 그런 점에서 현재 우리는 인류 역

          사상 초유의 복을 누리는 셈이다. 그리고 불교의 모든 것이 전방위적으로 공개되
          고 누구라도 탐구할 수 있게 된 데에는 근대 이후 수립된 문헌‧교학적 방법론에

          의한 탐구 성과의 역할이 결정적이다. 근대 이후의 문헌‧교학적 방법론은 여전
          히 유효하며 그 역할은 중요하다. 그런데 이제는 새로운 방법론이 문헌‧교학적

          방법론과 결합해야 할 때가 되었다. 문헌‧교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삼아야 수립
          되는 이 새로운 방법론은 철학적 방법론이다.



           성철과 원효에 대한 선행 연구는 그 방법론으로 대부분 교학적 방법론과 격

          의格義적 방법론을 채택하고 있다. 교학적 방법론은 전통 불교해석학인 교학의
          체계와 내용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교학적 방법론은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으며, 그 문제점들은 고스란히 성철과 원효 연구의 방법
          론적 한계가 되고 있다. 격의적 방법론은 교학적 방법론의 한계에서 벗어나려는



          8
   3   4   5   6   7   8   9   10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