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 - 고경 - 2021년 8월호 Vol. 100 - 별책부록
P. 5
『 』 제100호 | 별책부록 | 1. 성철과 원효
중도를 거론한다는 것은 붓다 법설을
포괄하는 매듭을 다루는 것이다. 붓다
중도中道의 법설의 모든 유형과 내용은 이 중도에서
철학적 의미 ※ 발산하는 동시에, 법설의 모든 다채로운
성철·원효·붓다에 기대어 변주는 다시 중도로 수렴된다. 붓다의
언어 체계 속에는 모든 법설이 발산하고
수렴되는 다수의 매듭이 목격된다. 모든
박태원 울산대 철학과 교수
유형의 법설을 포괄하고 또 펼쳐내는 상
위의 원리에 해당하는 것들이 그 매듭들
※ 몇 년 전 정초에 잊지 못할 꿈을 꾼 적이 있다. 부처님,
원효, 성철 세 사람이 둘러앉아 도란도란 대화를 나누
고 있었다. 정면에는 훤하게 잘생긴 젊은 부처님, 옆
모습이라 얼굴은 기억나지 않지만 당당한 풍모의 원
효, 사진으로 익히 보던 부리부리한 안광의 성철스님.
세 분이 서로 웃으며 이야기하는 곁에 내가 서서 귀를
기울이고 있었다. 희열과 환희심이 솟구쳐 꿈속에서 ‘
이게 꿈이라면 제발 깨지 말아라!’ 하였다. 깨고 나서
는 ‘그간의 탐구가 세 분의 사상과 가장 깊은 인연이
있다는 자기 암시이겠구나!’ 하였다. 교직에서 퇴임하
게 되는 학기에 세 분의 통찰에 기대어 중도의 철학적
의미를 짚어보는 것이, 그래서 나에게는 각별하다. 이
글을 쓰는 도중에 효암학원 이사장 채현국 선생님의
부음을 접했다. 일면식도 없는 분인데 3년 전쯤 연구실
로 전화를 주셨다. 필자의 『원효의 화쟁철학』을 읽고
공감이 되어 전화했다며 울산에 한 번 들리겠다고 하
셨다. 끝내 대화할 기회를 갖지 못하고 그분을 보내게
되어 아쉽지만, ‘시대의 어른’ ‘영원한 자유인’이라는
세평이 잘 어울리는 분으로 보였다. 80을 훨씬 넘긴
나이에도 철학 관련 책을 찾아 읽는 탐구 열정이 존경
스러웠다. 그분을 기리는 마음도 이 글에 담는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