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고경 - 2023년 5월호 Vol. 121
P. 27

내용을 바로잡았고, 한문 원문에도 표점을 모두 찍은 뒤 이를 토대로 역
             주譯注했다는 점이다. 나아가 각 주석서들이 탄생하게 된 그 시대의 불교
             적·정치적·문화적 배경을 알 수 있도록 상세한 「해제」를 각 권의 앞부분

             에 붙여 놓은 것도 『조론』을 공부하는 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으로 평가된

             다. 나아가 설명이 필요한 대목에서는 상세한 각주를 달았으며, 본문과 주
             석서에 등장하는 내內·외전外典의 인용문들의 출처와 근거를 밝혀 입체적
             으로 『조론』을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중국불교사상사에서 승조의 위상과 『조론』의 영향


               『조론』을 집필한 승조스님은 중국불교사에서 대단히 중요한 위상을 차

             지하고 있다. 구마라집 스님은 승조스님이 지은 「반야무지론般若無知論」을

             읽어보고 “불교경전에 대한 이해와 해설은 내가 그대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지만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데 있어서는 내가 자네보다 못하다.”며 승조
             스님을 칭찬하고 “공사상을 제일 잘 이해한 사람은 승조”라고 높이 평가했다.

               이처럼 승조스님은 구마라집의 반야·중관사상을 계승하여 『조론』을 집

             필하고 이를 통해 삼론종三論宗이 개창될 수 있도록 사상적 길을 열었다.
             나아가 인도사상과 중국사상의 교류 및 범어와 중국어의 회통에 새로운 모
             범을 개척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특히 『조론』은 중국불교사상사에서도 중요한 위상을 차지하고 있다. 실

             재론적인 노장철학의 무無·유有 개념으로 유학을 새롭게 해석하며 형이
             상학적인 논의를 진행하던 위진현학의 물줄기를 성공性空을 통해 공空·
             유有를 탐구하는 수당불학隋唐佛學으로 돌리는 역할을 했다.

               『조론』은 또한 후대 중국불교와 중국사상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25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