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2 - 고경 - 2023년 7월호 Vol. 123
P. 162
70여 편에 달하는 논문 가운데 원효의
사상을 검토한 것으로는 「원효의 보살계
관」(1967), 「교판사상에서 본 원효의 위
치」(1974), 「경전 인용에 나타난 원효의
독창성」(1975), 「원효의 실상반야관」
(1980), 「원효의 여래장사상」(1987) 등
이 있고, 「세계의 문화적 현실과 한국불
교의 이상- 원효사상은 21세기 세계를
사진 5. 이기영 박사의 저서 『원효사상』
(1989년, 홍법원). 향해 무엇을 줄 수 있는가?」(1988)도 원
효사상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성과이다.
원효는 당시 신라에 전해진 경론과 유행하던 사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했는
데, 이기영은 그의 사상을 철학적으로 조명하고 현대적 의미를 부여하는
데 공을 들였다.
그는 원효가 중관과 유식의 토대 위에 법화와 화엄을 접목하고 궁극적
으로는 여래장을 중시했다고 보았다. 원효사상의 이러한 특징은 일찍부터
회통과 융섭이라는 통불교의 전형으로 인식되었다. 이기영은 원효가 사상
적으로 대승불교를 제대로 파악했고, 그렇기에 자파의 우월성만 강조하는
학파 및 종파불교의 편협한 교판과는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 일심의 근
원으로 돌아갈 것과 중생을 이롭게 할 것을 촉구한 원효야말로 일승의 대
승적 불교를 제대로 체화했다고 평한 것이다. 또 다양한 사상과 논의를 궁
극적으로 수렴하고 귀결시키는 원융무애의 논리는 원효사상의 독창성이
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기영은 원효 외에도 신라불교 전체로 연구의 지평을 넓혔는데 「통일
신라 시대의 불교사상」(1972), 「신라불교의 철학적 전개」(1977), 일본 및 중
1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