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4 - 고경 - 2023년 7월호 Vol. 123
P. 164

충분히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그가 가장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원효를 예로 들면, 7세기 신라의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면서 원효가
          어떤 사상을 만들어냈고 그것이 왜 나오게 되었는지를 살펴보고, 또 원효

          가 당대 중국불교의 사상가들과 무엇이 다르고 어떤 철학적 상호 작용이

          있었는지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원효사상의 전모를 입체적으로 드러내는
          방식이다.
           이외에도 이기영은 불교를 중심에 두고 다른 종교나 철학과의 비교사적

          접근을 시도하기도 했다. 그는 역사를 불교의 연기緣起로 해석하여 가변적

          인 흐름으로 파악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불교는 교학뿐 아니라 수행과
          신행이라는 포괄적 영역을 아울러왔고 현재에도 대중불교와 실천불교로
          역사 전통을 이어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미래의 다종교 사회에서 불

          교의 진로는 무엇인가에 큰 관심을 가졌는데, 중생구제의 보살행의 현전

          화, 불교의 특색인 관용의 실천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이처럼 그
          는 불교와 사회 문제는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이며 그렇기에 불교 대중화와
          종교적 실천이 지상의 과제라고 역설했다.


























          162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