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고경 - 2016년 7월호 Vol. 39
P. 40

머리가 두 개로 늘어난다면 그로부터 발생하는 번뇌도 두 배                                        이처럼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고 있는 존재의 실상을 꿰뚫

         로 늘어나는 것은 자연스러운 귀결이다.                                                 어 보면 둘이 아니라는 진리를 일깨우는 것이 ‘불이법문(不二
           돌아보면 우리는 각자 서로 다른 개체 같지만 실상은 머리                                     法門)’이다. 현상적으로 보면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어져 있
         둘 달린 뱀처럼 하나의 몸을 공유하고 있다. 그 몸은 가정이                                     지만 그 실상을 보면 오른쪽도 왼쪽도 모두 하나의 몸으로 연
         나 국가일 수도 있고, 환경이나 지구일 수도 있다. 그럼에도                                     결되어 있다. 오른쪽이 잘되면 왼쪽이 잘되고, 왼쪽이 변을
         우리들은 머리 둘 달린 뱀처럼 나와 너로 분열되어 갈등하고                                      당하면 오른쪽도 변을 당하는 것이 불이법문이다.

         싸운다. 오른쪽과 왼쪽으로 나뉘어 갈등하고, 나와 너를 구                                        성철 스님은 존재의 중도성에 대해 “둘이면서 하나이고 하
         분하여 대립하고,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논쟁하고, 진보와                                      나이면서 둘이며, 같으면서 다르고 다르면서 같은, 참으로 원
         보수로 갈라져서 충돌한다. 부처님은 양두사의 비유를 통해                                       융무애한 도리”라고 했다. 오른쪽 머리와 왼쪽 머리는 하나의

         우리는 모두가 한 몸인 사실을 망각하고 나와 너로 갈라져                                       몸통으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전체로서 그것은 분명 하나이
         싸우고, 그것 때문에 함께 몰락하는 중생의 변견을 설명하고                                      다. 하지만 오른쪽 머리는 오른쪽 머리대로 있고, 왼쪽 머리는
         있다.                                                                   또 왼쪽대로 있기 때문에 둘로 존재한다. 두 개의 머리는 하
           비록 머리는 둘이지만 몸은 하나이기에 오른쪽이 이로우                                       나의 몸을 공유하고 있음으로 서로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면 왼쪽도 이로운 것이고, 왼쪽이 이로우면 오른쪽도 이로운                                      오른쪽과 왼쪽은 서로 경쟁하고 갈등하고 있음으로 그 두 머

         것이다. 반대로 왼쪽이 손해를 보면 오른쪽도 손해를 보고,                                      리는 또 각각 다른 머리이기도 하다.
         오른쪽이 손해를 보면 왼쪽도 손해를 보는 것이다. 이런 관계                                       존재의 중도성이란 뱀의 두 머리와 같이 서로 같으면서 또
         를 천태 대사는 ‘차조동시 (遮照同時)’라고 했다. 막음과 비춤                                   다르고, 서로 다르면서도 또 같은 이치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 동시적이라는 것이다. 오른쪽 머리가 먹이를 먹는 것이나                                      중도를 바로 이해하는 첫 번째 방법은 우리가 하나의 몸을
         왼쪽 머리가 먹이를 양보하는 것이나 몸의 관점에서 보면 같                                      공유하고 있는 ‘같은[一]’ 존재임을 아는 것이다. 그렇게 바라
         은 것이다. 두 개의 머리가 상징하는 양변에서 보면 득을 보                                     볼 때 내가 좀 손해 봐도 전체적으로 이로운 것이라면 수용
         는 자가 있고, 손해를 보는 자가 있지만 그들이 근거해 있는                                     할 수 있는 관용이 생겨난다. 네가 이로운 것이 곧 몸으로 대
         근본, 즉 몸의 관점에서 보면 이익과 손해는 무의미해진다. 네                                    변되는 전체가 이로운 것이고, 그것은 결국 나에게 득이 됨을

         가 잘되는 것이 곧 내가 잘되는 것이고, 내가 불행해지는 것                                     알기 때문이다.
         이 곧 네가 불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단, 이런 논리로 먹이는 늘 오른쪽이 먹어야 하고, 왼쪽은



         38                                               고경                   2016. 07.                                          39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