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4 - 고경 - 2017년 4월호 Vol. 48
P. 54

제81칙 — ●                                                            이라 짐작된다. 스님들이니 요란하고 난잡한 술판을 벌이진

           현사가 마을에 이르다(玄沙到縣, 현사도현)                                             않았을 것이다. 충분히 온당한 ‘법회’였을 터임에도 현사는 철
                                                                               저히 부정하고 있다. 아무리 맛나고 값진 음식을 내놓는다 한
           현사사비(玄沙師備)가 포전현(蒲田縣)에 갔다. 거기서는 갖가지                                  들, 한낱 나무토막이고 쇳덩어리인 불상(佛像)이 그걸 어떻게
           연희(백희, 百戱)를 베풀어 선사를 환영했다. 다음날 소당장로(小                                받아먹을 것인가.
           塘長老)에게 현사가 물었다.                                                       주지 (住持)란 단어는 당나라 백장회해(百丈懷海) 선사가 처음

           “어제의 그 시끄러움은 다 어디로 갔는가?”                                            사용한 것으로 전해진다.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
           소당이 말없이 가사 자락을 들어보였다. 현사가 말했다.                                      는다(一日不作 一日不食)’는 명언을 남긴 스님이다. 현재는 전해
           “아무 쓸모도 없을 줄 알았다.”                                                  지지 않지만 그는 청규(淸規)를 만들어 출가자들의 노동과 자

                                                                               급자족을 독려했다. 하여 탄탄한 사원경제를 이뤄 황제들에
           『조당집(祖堂集)』 권10에는 현사사비의 품성에 대해 이렇게                                   의해 자행된 불교파괴인 법난(法亂)에도 선종 사찰은 크게 타
         기술하고 있다. “모든 행동은 모범적이었으며 풍상(風霜)을 싫                                    격을 받지 않았다. 절에 불상을 따로 두지 않은 것도 백장이
         어하지 않았으니 더위와 추위를 어찌 피했으랴. 선사의 기틀                                      만든 선가의 전통이다. 도를 깨달아 간직하고 있는 주지와 주

         이 순일함을 보고 매양 경탄하다가 마침내는 비두타(備頭陀)                                      지의 법문이 부처님을 대체했다. 사람이 부처여야만 사람을
         라고 불렀다.” 두타란 범어 드후타(Dhuta)의 음역(音譯)이다. 의                               제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식주에 대한 집착을 완전히 버리고 온전히 도를 닦는 일에 온
         생명을 바친다는 뜻이다. 현사가 얼마나 세속의 물욕에 초연                                        제82칙 — ●

         했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운문의 빛과 소리(雲門聲色, 운문성색)
           요즘에야 개신교의 전유물인 양 돼버렸지만 ‘장로’는 본래
         불교의 용어였다. ‘길 장(長)’자에 ‘늙을 로(老)’ 자를 써서 지혜                                 운문문언이 대중에게 말했다.
         와 덕망이 높은 노스님을 가리켰다. 옛날 선종에서는 주지스                                        “소리를 들어 도를 깨닫고 빛을 보아 마음을 밝힌다.”
         님을 이렇게 불렀다. 곧 소당 장로가 백희를 주관한 호스트였                                       손을 들고는

         을 것이다. 가사 자락을 들어 보인 연유는 ‘성대한 잔치를 연                                      “관세음보살이 돈을 가지고 와서 호떡을 샀다.”
         것은 모두 부처님 제자로서 당연한 도리’라는 입장을 알린 것                                       손을 내리고는



         ● 고경                                           2017. 04.                                                                52 53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