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고경 - 2017년 5월호 Vol. 49
P. 16

통해 우리는 우리 자신의 물리적, 심리적 전 과정이 오온으로                                     물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것이다. 그러므로 사띠는 지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며, 그 결과 모든 속박에서                                      (prajna)의 계발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분명한 앎을 의미하는
         벗어나게 된다.                                                              saṃprajāna(正知)가 사띠와 연관하여 발생한다는 사실을 고
           느낌 역시 즐겁거나 불쾌하거나 중립적인 느낌들로 해체되                                      려하면 사띠가 지혜의 계발과 얼마나 깊은 관계가 있는지 짐
         며, 마음의 상태 역시 감각의 작용에 묶여 있으며 발생했다가                                     작할 수 있다.
         소멸하는 것으로서 지각된다. 법에 대한 염처는 1) 명상을 방                                      그런데 염처 수행은 감각에 직접 주어진 대상에 대한 단순
         해하는 다섯 가지 장애 (감각대상에 대한 욕망, 악의, 혼침, 경안, 우                              한 관찰을 의미하는 것만 말하지 않는다.
         울, 의심)가 있는지, 없는지, 2) 마음이 감각과 각각의 감각대상
         에 얽매이는 방식에 대한 알아차림 3) 깨달음을 이루고 구성                                         비구는 발뒤꿈치부터 위로, 머리끝에서 아래로 이 몸이

         하는 칠각지 (念, 擇法, 精進, 定, 喜, 除, 捨)가 현존하는지 아닌지                                 피부 속에 감싸여 있고 여러 가지 오물로 가득 차 있다
         를 관찰하는 것이다.                                                               고 본다. ‘이 몸 안에는 머리털, 체모, 손톱, 이빨,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신장, 심장, 간, 횡격막, 비장, 허파, 대장, 소
             이 방법으로 그는 안으로 몸을… 느낌을… 마음을… 법                                         장, 식도, 똥, 담즙, 가래, 고름, 피, 땀, 비계, 눈물, 기름기,
             들을, 밖으로 [몸을… 법들을] 그리고 안팎으로 몸을… 느                                      침, 코딱지, 관절액, 오줌이 있다.’ 양 끝에 구멍이 있는 자
             낌을… 마음을… 법들을 관찰하며 살아간다. 그는 몸과                                         루에 여러 곡물이 들어 있는 것처럼 좋은 눈을 가진 자

             느낌과 마음과 법들의 경우 사물들이 어떻게 발생하고…                                         는 “여기 쌀이 있고, 여기는 녹두, 여기는 강낭콩, 여기는
             어떻게 소멸하는지… 사물이 어떻게 발생하고 소멸하는                                          참깨가 있다.”라고 보아야 한다. (M 1.57;cf. T 1.583b17; Kuan,
             지 관찰하며 살아간다. 게다가 몸… 느낌… 마음… 법들                                        2008, pp. 149-150)
             이 있다는 것에 대한 그의 알아차림이 확립되면, 앎과 환
             기가 최대로 존재한다. 따라서 그는 세상의 어떤 것에도                                      이런 수행은 분명 신체 각 부분들에 대한 기초적인 기억뿐
             집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살아간다. (D 2.292, 2.298, 2.299-                       아니라 신체 여러 부분을 사전에 관찰한 기억과 상상력의 훈

             300, 2.301; M 1.56, 1.59-60; Gethin, 2008, pp. 143, 146-148)      련을 모두 필요로 한다. 그 뿐 아니라 신체 부위를 ‘더러운 것
                                                                               (asucin)’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염처는 의식의 특정 대상에 대해 의도적으로 주의를 기                                         오늘날 사띠는 사마타 수행보다 위빠사나 명상과 더 깊이
         울이는 것으로, 사물이 표면적으로 보여지는 것과 달리 사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지만 “사마타”와 “위빠사나”라는 용어는



         ● 고경                                           2017. 05.                                                                14 1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