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고경 - 2017년 11월호 Vol. 55
P. 20
수행, 오래된 미래
불교중흥에 관한 소신은 성철스님이 처음으로 ‘매스컴’에 쓴 지난해 12
월의 <불교신문> 투고 내용과 같을 것이라며 자신의 난처한 입장을 이해
『반주삼매경』과
해달라고 오히려 간청한다.)
이 종정의 ‘불교중흥을 위한 제언’은 종단의 권력구조를 강
불수념
력한 중앙집권제로 해서 전 종단의 수입을 ‘가톨릭’과 같이
중앙 집결하고 승려교육과 수도, 포교사업 등에 전적으로 투
글 : 명법 스님(은유와마음연구소)
자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종정은 “정부당국이 사회정화의 차원에서 불교에 일대
수술을 가한 것은 자체적으로 하지 못한 참괴심이 앞서긴 하
나 어쩔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인다”고 전제하고 오늘의 현실
을 전화위복의 기사회생의 기회로 삼아 일대 혁신을 단행할
초기불교에서 불수념(佛隨念, buddhanusmŗti)은 불법승 삼
것을 주장했다.
보에 귀의할 때 요구되었던 염불, 염법, 염승의 하나로서, 석가
“사찰 재산과 수입의 개인적 분산(分散) 관리의 현 체제가
모니 부처님께 귀의하고 예경하며 그 덕을 추모하고 기억하고
승려들의 부정, 비행, 암투의 원천”이었다고 지적한 그는 승려
찬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잡아함경』에서 “만약 어떤 사
자질을 높이기 위해 득도(得道) 및 교육에 관한 일대 개혁과
람이 길을 갈 때 미친 코끼리나 미친 사람을 만나 마음이 당
함께 혁신적인 중앙통제의 재정 운영을 제의했다.
황하고 산란하여 … 삼보의 이름을 불러 염하면 두려움을 제
승려교육은 승가대학과 총림의 설립운영을 시급히 서둘고, 거할 수 있고 삼보를 염하는 습관에 의해서 천상에 태어날 수
사미계, 비구계의 수계를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에게만 있다.”고 했듯이 위기의 상황에서 두려움을 떨치기 위해 부처
주도록 제한해야 한다는 것이다. 포교 문제는 신심이 두터운 님의 자비로운 가피와 보호를 구하며 부처님을 기억하고 생
신도를 참여시키는 새로운 법사(法師)제도의 확립을 제의했다. 각하는 방법으로 수행되기도 했다.
끝내 이 종정을 친견하지 못한 채 백련암을 등진 발걸음은 대승불교에서 불수념은 마음속으로 부처님을 지속적으로
무겁기는 했지만 한국불교의 저력을 새삼 실감한 것도 같아 관상(visualizing)하는 독립적인 수행법으로 발전한다. 그와 더
다소의 위안을 느꼈다. <이은윤 기자> 불어 한 가지 중요한 변화가 일어났는데, 다름 아니라 ‘smŗti’
의 대상, 즉 기억하고 잊지 않는 대상으로 현존하는 부처님이
● 고경 2017. 11.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