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고경 - 2018년 2월호 Vol. 58
P. 56

선사, 주인공의 삶

                                                                                             요즘 제 원고가요, 경에서 다 베낀 거잖아요. 다 부처님 말씀이

                                                                                             고 제가 쓴 거라고 할 수도 없을 지경인데, 원고 이렇게 써도 되
           연재를 하다 말고 선지식을                                                                    나 해서요. 원고료를 부처님과 반띵할 수도 없고… 그래서 어


           만나서 경전 번역을 생각했다                                                                   찌 생각하시는지, 궁금해서 전화 드렸습니다.” 즉답이 돌아왔
                                                                                             다. “원래 경전 보는 사람 아니었습니까? 새삼스럽게 왜 그러십

                                                                                             니까? 계속 써주세요.” “아, 예, 그럼, 그리 알고 계속 쓰겠습니
           글│이인혜                                                                             다.” 스님께서 한마디 덧붙이셨다. “원고료는 부처님과 반띵하

                                                                                             십시오.” 전화를 끊고 나서 몰록 깨달은 바가 있었다. 아, 참, 그
           ○●○                                                                               렇지, 내가 경을 보는 사람이었지. 깨달음이란 원래 다른 데서

                         지난 연말에 본지 발행인 원택스님께 전화를                                             오는 것이 아니라 자기한테 있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그 점
           드렸다. 『고경』에 계속해서 글을 올려도 되겠는지 회의가 들었                                                을 일깨워주신 스님께 감사드린다.

           기 때문이다. 원래 글 쓰는 사람도 아닌데다가 먹고사는 일에                                                   그러고 보니 지난달에도 경전 번역에 관한 세미나에 참석했
           치이다 보니 원고에 쏟을 힘이 남아 있질 않았다. 몇 년 썼으면                                               었다. ‘경전 번역에 나타난 한글 술어’라는 주제로 열린 세미나

           익숙해질 만도 한데 그렇기는커녕 매번 쥐어짜느라 고생하는                                                   였다. 그중에 나는 북한에서 번역한 대장경을 재료삼아 ‘번역
           편이다. 급기야 최근 몇 번은 원고의 대부분을 경에서 인용하                                                 용어 선택의 기준’에 대해 짧은 글을 써서 발표하였다. 이런 주

           는 식으로 채우다시피 했다. 그러다 보니 독자들에게도 미안하                                                 제를 맡게 된 것은, 북한의 역자들을 직접 만나 이야기를 들은
           고 원고료를 받는 것도 죄송했다. 스님께서 그만 쓰라는 말을                                                 적이 있기 때문이다. 2005년이니 벌써 십 년도 더 지난 일이

           차마 못하고 계신 건 아닌지 해서 먼저 전화를 드린 것이다.                                                 지만 그때의 기억이 생생하다. 종교를 아편이라고 여기는 그들
             통화연결음을 들으면서 (진짜로 그만 쓰라고 할까봐) ‘괜히 전화                                             이 불경을 번역했다는 사실에 우선 놀랐고, 25책으로 펴낸 해

           했나’ 후회가 드는 순간, 전화를 받으셨다. “어쩐 일이십니까?”                                              제를 읽고 나서 더 놀랐다. 한자가 한 글자도 섞여 있지 않았기
           “저어~ 내년에도 원고 계속 쓸까요?” 다짜고짜 묻는 말에 당                                                때문이고, 그럼에도 뜻이 잘 전달되었기 때문이다. 그 일을 해

           황하지 않고 “왜 그러십니까?”하고 되물으셨다. “그게~ 저어~                                               낸 사람들은 북한의 사회과학원 민족고전연구소 연구사들이



        54                                                                                   2018. 02.                                               55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