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고경 - 2018년 5월호 Vol. 61
P. 16

조계(曹溪, 638~713, 육조혜능) 스님께서 열반하시려는 차에 문인                                         뿐이니 이런 무리는 천 명이나 된다.”

           인 행도 (行瑫, 671~759),  초속(超俗), 법해(法海) 스님 등이 물었다.                                      아! 사슴을 뒤쫓는 자는 산 속에 있으면서도 산을 보지 못
                             4)
             “스님의 법을 누구에게 전하시렵니까?”                                                           하고, 황금을 탐내어 덮친 자는 곁에 있는 사람을 보지 못한다

             “내 법을 받을 사람은 20년 후에 이곳에서 크게 법을 펼칠                                               는 옛말이 거짓이 아니다. 종밀 스님의 눈에 보이는 것은 오로
           자이다.”                                                                             지 하택 스님뿐이었다. 그러므로 다른 선사들에 대해서는 시비

             “그가 누구입니까?”                                                                     를 불문하고 으레 모두 헐뜯었다.
             “누구인가를 알고 싶거든 대유령 (大庾領) 꼭대기에서 그물로                                                 “대유령 꼭대기에서 그물로 덮쳐라” 하신 말은 대사께서 깨

           덮쳐라.”  5)                                                                         달으신 종지를 완전히 드러내 보이신 한마디인데도 이를 억지
                                                                                             로 끼워 맞추려 하고, 회양 스님은 사문 가운데 사문인데도 그

             규봉종밀(圭峯宗密, 780~841) 스님이 하택신회(荷澤神會, 684~                                         를 한낱 평범한 문도라 하였다. 종밀 스님의 뜻을 자세히 음미
           758) 스님을 정통의 전수자로 내세우려고 이 말을 이렇게 풀이                                               해 보면 천 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웃음이 나올 뿐이다.

           하였다.                                                                                                            <혜홍각범(慧洪覺範), 『임간록(林間錄)』>
             “재 [嶺(영)]란 높은 것을 말한다. 하택 스님의 성이 고씨(高氏)

           이므로, 은밀히 이를 나타낸 것이다.”           6)
             한편 남악회양(南嶽懷讓, 677~744) 스님을 깎아내리려고 방계

           (旁系) 출신이라고 매도하여 말하였다.
             “회양은 조계 문하의 방계 출신으로서 한낱 평범한 문도일



           4)   『임간록』이 ‘行瑫’라고 표시한 ‘행도’라는 인물은 혜능(慧能, 638~713)의 문인 법
              해 (法海)가 지은 『육조대사연기외기(六祖大師緣記外記)』(T48-362b)에 따르면 혜능
              의 아버지 이름이다. 혜능의 문인인 ‘행도’는 『조계대사별전(曹溪大師別傳)』(X86-
              52c)에 ‘行滔’라고 표시하였다.
           5)  『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X63-31c).
           6)  『중화전심지선문사자승습도(中華傳心地禪門師資承襲圖)』(X63-31c).



        14                                                                                   2018. 05.                                               15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