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고경 - 2018년 5월호 Vol. 61
P. 15

그리고는 말하였다.    이르러서 의발을 들려 했으나 들지 못하고 비로소 힘으로 빼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깃발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  앗을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리하여 머리를 숙이고 약
 라 자기 마음이 움직일 뿐입니다.”  을 내려 주기를 빌었다. 대감께서 “착함도 생각하지 말고 악함

 인종 법사는 이 말을 듣고 마침내 스님에게 가사를 걸쳐 주  도 생각하지 말라. 이런 때 상좌의 면목이 어디에 있느냐?”는
 고 머리를 깎아 주었다.  질문을 던지자 그는 곧바로 귀착점을 알았다.

 그 후 소주(韶州) 자사 위거(韋據)가 스님을 대범사(大梵寺)에   시절인연이 아직 이르지 않아 대감 스님은 다시 사회 (四會) 2)
                                                             3)
 맞이하여 법륜을 굴려 달라 청하고 무상심지계 (無上心地戒)를   의 사냥꾼 속에 오랫동안 은둔한 뒤에야 번우(番禺) 로 나와
 받았으며, 문인들은 스님의 법어를 기록하여 『단경 (壇經)』이라   “깃발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바람이 움직이는 것도 아니고
 제목을 붙였다. <희수소담(希叟紹曇), 『오가정종찬(五家正宗贊)』>  마음이 움직이는 것이다”는 말을 토로하였다. 이 말을 들은 인

               종(印宗, 627~713) 법사는 스승으로 모시는 예의를 갖추고 머리
 조계대감(曹溪大鑑, 638~713) 스님이 출가하기 전에 신주(新州)  를 깎아 주고 구족계단(具足戒壇)에 오르게 하였다. 그러자 즉

 의 땔감장수였다. 보잘것없이 수십 년을 지내다가 어느 날 아  시 큰 법요(法要)를 여시고 2천의 대중을 격발시켜 명성이 대
 침에 나그네가 경전 외우는 소리를 듣고 그 본원 (本願)을 세우  궐에까지 알려졌다. 천자는 가까운 신하에게 명령하여 가사와

 고는 어머니를 버리고 고향을 떠나 멀리 황매산의 스님 (오조홍  발우를 하사하였으나 스님은 끝내 받지 않았다. 용상(龍象) 대
 인, 602~675)을 찾아갔다. 처음 뵙고 몇 마디 대화 사이에 기연  덕 수십 사람을 제도하였는데 모두가 대종사였으니, 어찌 그리

 이 투합하여 자취를 숨기고 8개월 동안 방아를 찧었다.  도 위대하신가! <원오극근(圓悟克勤), 『원오심요(圓悟心要)』>
 이윽고 신수(神秀, 605~706) 대사와 함께 게송을 바치고서야

 비로소 칼끝을 드러냈더니, 황매산의 스님은 드디어 가사와 바
 리때를 그에게 전수하였다. 이때 여러 대중들이 쫓아가 다투어   6조 혜능(慧能)에게 전해졌다는 소식을 듣고 혜능을 쫓아갔다가 대유령(大庾嶺)
                  에서 혜능의 설법에 깨달았다. 혜능과 헤어져 여산(廬山)에 머물다가 원주(袁州)
 1)
 빼앗으려 하였다. 몽산(夢山, 697~780) 이 먼저 대유령(大庾嶺)에   몽산(蒙山)에 머물렀다. 원래의 법호는 혜명(慧明)이었으나 혜능의 ‘혜(慧)’ 자를
                  피하여 도명(道明)이라고 개명하였다.
               2)  광동성 (廣東省) 사회시(四會市).
 1)   몽산(夢山, 697~780) : 진(陳) 선제(宣帝)의 자손으로서 장군 또는 4품장군이라고
 한다. 어려서 출가하여 5조 홍인(弘忍)에게 참학하고 있었다. 보리달마의 가사가   3)  광동성 (廣東省) 광주시(廣州市) 번우구(番禺區).



 12            2018. 05.                                               13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