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0 - 고경 - 2019년 1월호 Vol. 69
P. 140
[5] ① 열반이라는 것은 단지 번뇌의 결박이 다한 것이다. 즉 삶과 죽음이
영원히 소멸됐기에 ‘다했다’고 말할 뿐이지, ‘또 하나의 다함’이 별개로 있
는 것은 아니다.
[4] [본문] ①漚和、般若者, 大慧之稱也. 諸法實相, 謂之般若, 能不形證, 漚和
功也. 適化衆生, 謂之漚和, 不染塵累, 般若力也. ②然則般若之門觀空, 漚
和之門涉有. 涉有未始迷虛, 故常處有而不染. 不厭有而觀空, 故觀空而不
證. 是謂一念之力, 權慧具矣. 一念之力, 權慧具矣, 好思歷然可解.
[원강소] ① “漚和、般若”下, 第三、明漚和般若宗, 為《般若無知論》之宗本也.
9)
具足梵音, 應言漚和俱舍羅 般若波羅蜜, 漚和俱舍羅, 此云方便; 般若波羅
10)
蜜, 此云智慧. 方便者, 權智也; 智慧者, 實智也. 《大品經·九十品》 , 龍樹
11)
菩薩以方便已前明般若道; 《方便品》 已後明漚和道. 《維摩經》云: “有慧方
便解, 無慧方便縛; 有方便慧解, 無方便慧縛.” 今合明此二, 只是大智之名
也.
① “방편과 지혜” 이하는 세 번째로 방편과 반야의 요지를 밝힌 것으로,
「반야무지론」의 요지要旨이다. 범어의 소리를 모두 갖추 말한다면 방편은
당연히 ‘구화구사라반야바라밀’이라고 말해야 하며, ‘구화구사라’는 중국말
로 하면 방편이다. 반야바라밀은 중국말로 지혜다. 방편은 권지權智를 말
9) 구사라拘舍羅는 범어 kauśalya의 음역으로 ‘선교善巧’라는 의미다. 구화구사라漚和拘舍羅는 upāya-
kauśalya의 음역으로 방편선교라는 뜻이다. 중생의 근기에 맞춰 여러 가지 수단과 방법을 선하고 공
교하게 쓰는 것을 말한다.
10) 구마라집이 번역한 『마하반야바라밀경』은 전27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마지막 품이 「촉루품 제90」
이다.
11) 『마하반야바라밀경』 권제20에 「방편품 제69」가 있다.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