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고경 - 2019년 9월호 Vol. 77
P. 18

사진 4. 발우형
                                                              약기와 석장을 든
                                                              약사여래상,
                                                              돈황 6굴 북벽,
                                                              오대(907-979)




           국시대 약사여래상은 몸의 중심을 한쪽 다리에 두고 어린아이 같은 모습

           을 한 채 한쪽 손에 보주를 들고 있는 것이다(사진 6).
             통일신라 약사여래상과 삼국시대 약사여래상의 가장 큰 차이는 수인

           에서 찾을 수 있다. 통일신라의 약사여래상은 오른손은 항마촉지인을 하
           고, 왼손에는 약그릇을 올려놓은 독특한 수인을 하고 있다. 이러한 수인

           을 한 이유로 석가여래의 깨달음을 상징하는 항마촉지인 수인이 석굴암



           16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