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2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62
설인 『별주부전鼈主簿傳』의 원형으로 알려져 있다. 원숭이는 부처님의 전
생이고, 용은 마왕 파순이라고 하였다.
또한 『본생경』에는 원숭이들이 연못가의 나찰귀신 때문에 연못의 물을
마시지 못하고 있을 때 원숭이 왕이 속이 빈 갈대를 이용하여 물을 마실
수 있게 하였다는 내용이 나온다. 원숭이 왕은 부처님의 전생이고, 나찰
귀신은 데바닷다(부처님의 제자이자 배신자)의 전생이라고 한다.
『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 「지품智品」에는 원후봉밀猿猴奉蜜, 부처님 전에
꿀을 공양하고 인간으로 태어난 원숭이에 관한 내용이 담겨져 있다.
이처럼 수많은 원숭이와 관련된 내용이 불경에 담겨 있고, 인도와 캄
보디아 앙코르와트뿐만 아니라 중국의 석조물에도 원숭이가 부처님 전에
공양 올리는 부조가 새겨져 있는 모습을 보면서 원숭이와 관련된 불가기
공을 만들 생각을 하게 되었다. 늘 강조하는 말이지만, 한 걸음 한 걸음,
한 순간 한 순간, 어떤 생각을 가지고 기공을 하느냐가 참으로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혜로운 원숭이, 공을 깨달은 원숭이를 떠올리면서 숨을 쉬고
움직이면 후왕전허 기공이 위신력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1. 우상보합장(右象步合掌: 오른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어 무릎을 앞으로 굽히고
왼쪽 무릎은 곧게 펴서 합장 자세),
2. 후좌전허(後坐前虛: 몸의 중심을 뒤로 옮기며 왼쪽 무릎을 구부려 앉듯이 하고
오른발 뒤꿈치는 땅에 대고 앞꿈치를 세우는 자세) 후 이어서 포수(抱樹: 나무
를 껴안은 동작) 자세를 한다.
3. 양 손바닥(兩掌)을 아래로 하고 몸을 왼쪽으로 돌리면서 수평으로 팔
을 앞뒤로 벌려 좌상보(左象步: 왼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어 앞 무릎을 굽히
고, 오른 무릎은 곧게 펴는 자세)를 한다.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