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고경 - 2020년 1월호 Vol. 81
P. 67
『 』 제81호 | 도공과 도자기 5 얼마 전 도쿄의 미츠이기념미술
관에서 기획한 ‘고려다완 특별전’을
다녀왔다. 쉽게 볼 수 없는 국보급
다완들이 많이 나와서 찻그릇을 하
막사발 는 사람이라면 놓치기 아까운 전시
고려다완 였다. 나는 책으로만 접하던 조선 사
발을 볼 수 있다는 기대에 다른 일정
조선사발
은 일체 잡지 않고 오로지 전시에 집
중하기로 했다. 하루 종일을 전시장
김선미 도예작가 에서 보냈는데 많은 생각들이 스쳐
갔다.
평일이었음에도 다양한 연령층의
관람객이 많았다. 특히 걷기도 힘든
분들이 그릇을 경배하듯이 오랜 시
간동안 그릇에 빠져있는 모습은 또
다른 감동이었다.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막사발’로
불리던 그릇이 일본에서는 ‘고려다
완高麗茶碗’이라는 이름으로, 다도에
서 천하의 명기名器로 대접 받는다.
고려다완이라고 불리는 것은 고려의
소천素泉 김선미 귀신사에서 찻그릇을
화려한 문화에 대한 환상 때문이라
보고 무작정 도천陶泉 천한봉 선생에게 입
문하다. 전통적인 방식으로, 소박하고 자 고 한다. 시대와 상관없이 중국의 고
연스러운 그릇을 만들기 위해 정진중이
다. 현재 운산요雲山窯를 운영하고 있다. 급스러운 물건을 당물唐物이라고 칭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