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1 - 고경 - 2020년 9월호 Vol. 89
P. 91
『 』 제89호 | 차와 불교 7 조선 건국 이후, 불교계와 차 문화
조선 전기의 차문화
는 커다란 변화를 겪어야 했다. 출가
는 억제되고, 사원전은 축소되고, 사
원도 선교양종 체제로 개편됐다. 이
차는 있어도 런 상황이었지만 망자를 추모하는
문화는 쇠퇴 역활은 배척되지 않아 출가자의 사회
활동은 어느 정도 유지되었다.
그런데 조선 초기 성리학자들은
박동춘 철학박사
불교를 비판하는데 열을 올렸다. 삼
봉三峯 정도전(鄭道傳, 1342-1398)은 『심
문천답』, 『심기리편』, 『불씨잡변』 등
을 저술해 불교를 이론적으로 비판
했고, 신진사대부들과 함께 사회를
개혁하려는 의도로 불교의 인과응보
설, 화복禍福, 인과, 윤회, 승려들이
출가하여 임금과 어버이를 저버린다
는 반인륜적인 문제 등을 비판하고,
박동춘 동국대 일반대학원 선문화 전 유교의 우월성과 현세적 가치를 수호
공, 철학박사. 응송 박영희 스님에게 초
의선사로부터 이어진 제다법 전승. 현 하려 했다.
(사)동아시아차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전
변혁기의 어려운 상황에서도 기
통문화대학교 겸임교수. 성균관대·동
국대 등에서 강의했고, 저서 『초의선사의 화 스님(己和, 1376-1433)이나 보우 스
차문화연구』 등 7권의 저술이 있다. ‘초
의선사와 경화사족들의 교유에 대한 연 님(普雨, 1509-1565) 등이 유교를 비판
구’ 및 ‘한국 차 문화’ 전반을 연구하며,
하며 유교와 불교가 서로 통한다는
순천 대광사지에서 ‘동춘차’를 만든다.
한국차문화의 대중화에 힘쓰고 있다. 원론을 주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