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5 - 고경 - 2021년 7월호 Vol. 99
P. 65

解는 선지禪旨가 아님을 분명히 한               아님을 분명히 한 서산 대사의 명언
             청허淸虛의 명언이다. 청허는 돈오점              이다. 서산 대사는 돈오점수와 원
             수와  원돈신해圓頓信解가  선지禪旨              돈신해는 선지가 아님을 단언하셨

             아님을 단언하였을 뿐 아니라, 『선              을 뿐 아니라 『선교결』에서 교법을

             교결禪敎訣』에서 원돈사구圓頓死                 믿고 아는 것에 의지해 납자들을
             句로써 학자를 지도함은 “할인안瞎               지도하는 원돈사구圓頓死句 방식은

             人眼  불소不少요  치광외변주痴狂外              “남의 눈을 멀게 하는 것이 적지 않
             邊走”라고 엄훈嚴訓하였다.                   고, 밖으로만 치달리는 어리석은 미

                                              치광이”라고 엄격하게 경계하며 가
                                              르쳤다.




             1)   【13-2】를 말하며, 『선문정로』 제4장 「무상정각」에 특히 자세하게 나온다.
             2)  ‘비상’은 비석砒石에 열을 가하여 승화시켜 얻은 결정체로 거담제와 학질 치료제로 쓰였으나 독성 때문
               에 현재는 쓰이지 않는다. ‘짐독’은 짐새의 깃에 있는 맹렬한 독.
             3)  시호는 대통(大通, ?-706). 50세에 기주蘄州 쌍봉雙峰 동산사에서 5조 홍인弘忍 선사를 뵙고 제자가 됨. 홍
               인 사후 측천무후의 귀의를 받고 궁중의 내도량內道場에 가서 우대를 받았고 중종의 존경을 받음. 동
               문同門 혜능慧能이 남방에서 펼친 법을 남종南宗이라 하고, 신수가 전한 것을 북종北宗이라 함.
             4)  5조 홍인 대사가 장차 법을 전하려고 대중에게 각기 증득한 바를 게송으로 지어 바치게 하였다. 이에
               신수가 “몸이 곧 보리수요 마음은 밝은 거울과 같네. 때때로 부지런히 털고 닦아 때가 끼지 않게 하
               라.[身是菩提樹, 心如明鏡臺. 時時勤拂拭, 勿使惹塵埃]”는 게송을 벽에 써놓았다. 이를 전해들은 혜능이 다른 사람
               에게 대신 게송을 쓰게 했다. “보리라는 나무 본래 없고 밝은 거울 또한 틀이 아니네. 본래 한 물건도
               없는데 어디에 때가 끼겠는가?[菩提本無樹, 明鏡亦非臺. 本來無一物, 何處惹塵埃?]” 이를 본 5조가 혜능에게 법을
               전함.
             5)  ‘총지’는 산스크리트 ‘dhāranī’의 번역으로 한량없는 뜻을 포함하여 잃어버리지 않게 하는 것, 또 선법
               을 가져 잃지 않고 악법을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을 말한다.
             6)  법명은 징관(澄觀, ?-839), 법호는 대통청량 국사大統淸凉國師, 자는 대휴大休. 화엄종 제4조. 삼론종·화엄
               종·천태종의 교학을 비롯한 남종선과 북종선을 두루 섭렵하고 4종법계의 성기설性起說을 대성大成. 선
               종과의 융화를 꾀하여 교선일치론敎禪一致論의 기초를 마련. 796년(정원 12) 반야 삼장이 40권 『화엄경』을
               번역하는 데 참여했다. 저서로 『화엄경수소연의초華嚴經隨疏演義鈔』, 『화엄현담華嚴玄談』, 『화엄약의華嚴略
               義』, 『삼성원융관三聖圓融觀』 등이 있음. 법을 전한 제자 백여 명 가운데 종밀宗密, 승예僧叡, 보인寶印, 적
               광寂光 등을 4철哲이라 함.
             7)  법명은 신회(神會, 685-760). 6조 조계曹溪 회하에서 다년간 수학. 742년(천보 4) 남돈북점南頓北漸으로 양종
               兩宗을 구분한 『현종기』를 지음.
             8) 교법을 믿고 아는 것에 의지해 완전한 깨달음을 구하려는 가르침.
             9) 빠르게 증득하는 가르침.



                                                                          63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