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0 - 고경 - 2021년 7월호 Vol. 99
P. 60
통탄하였다. 실증實證치 못한 해오 게 통탄했다. ‘참답게 증득[實證]’하
는 전부 광해狂解에 속한다. 그러므 지 못한 ‘이해적 깨달음[解悟]’은 전
로 자고로 정안종사들은 철증徹證 부 ‘미친 견해[狂解]’에 속한다. 그러
이외는 모두 마설마속魔說魔屬으로 므로 예부터 ‘올바른 안목을 가진
통척痛斥하였다. 이는 최사현정摧邪 선지식[正眼宗師]’들은 철저한 증득
顯正하는 대자비이니 이렇게 하지 이외는 모두 마구니들의 말이고 마
않으면 정법은 파멸되기 때문이다. 구니 권속들이라고 통렬하게 배척
그리고 『절요節要』의 편말編末에서 했다. 이는 ‘삿된 것을 꺾어 바른 것
해오를 의언생해依言生解라고 함은 을 드러내는[摧邪顯正]’ 크나큰 자비
즉 종어언중작해從語言中作解이다. 심의 발로인데, 이렇게 하지 않으면
『도서都序』에 오후수증悟後修證의 올바른 가르침이 파멸되기 때문이
십중차제十重次第를 열거 하였는 바 다. 그리고 『절요』의 마지막 부분에
초일初一은 해오요 종십終十은 심기 나오는 “이해적 깨달음을 ‘말에 의지
무념心旣無念하니 명대각존名大覺 해 견해를 낸다[依言生解]’고 함이 바
尊이라 하였는데, 이는 선오후수先 로 ‘말과 글로 견해를 짓는 것[從語言
悟後修하여 인수내증因修乃證하는 中作解]’이다.
해오점수의 표현이다. 교가의 돈오 『도서』에 ‘깨친 뒤 닦아 증득하는
는 초일初一의 해오요, 선문의 견성 열 가지 차례’를 열거 하였는 바 “처
은 종십終十의 무념이니 근본적으 음은 ‘이해적 깨달음[解悟]’이고 마지
로 상반된 내용인 해오와 견성을 막은 ‘마음에 이미 그릇된 생각이
혼합하려 함은 무모한 시도일 뿐 아 없으니[心旣無心]’ 이를 큰 깨침을 증
니라 천추의 망설妄說이다. 득한 분[名大覺尊]이라 한다.”고 했는
상술詳述하면 선문의 견성은 원 데, 이는 ‘먼저 깨치고 나중에 닦고
증무념圓證無念이요, 교가의 돈오 [先悟後修], 닦음으로 증득한다[因修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