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고경 - 2022년 10월호 Vol. 114
P. 71
『 』 제114호 | 불교벽화 이야기10 | 한국 사찰 벽화에 있어서 주 법당
의 벽화로 가장 많이 그려지는 경우
가 부처님의 일생을 시각화한 팔상성
도 벽화와 선禪의 수행 단계를 소와
마음의 소를 찾는 동자에 비유하여 도해한 심우도尋牛
圖 벽화라고 하겠다. 특히 심우도 벽
심우도 1
화에 있어서는 긴 설명이나 어려운
논의가 아니어도 짤막한 송시頌詩나
이은희 불화가·철학박사 그림을 보기만 해도 수행자뿐만 아니
라 대중들도 쉽게 선리禪理(선의 도리)
에 익숙하게 되는 대중 교화의 수단
으로 심우도 벽화의 의의는 크다 하
겠다.
수행에서 소의 상징
고려 시대의 지눌智訥 스님은 스스
로 목우자라 하였고, 근세의 만해 한
용운 스님은 성북동에 있는 자신의
이은희 위덕대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철
학박사). 김해시청 벽화공모전, 전통미술대
거처를 심우장尋牛莊이라고 한 것은
전 심사위원역임. 미술실기 전서-산수화
의 이해와 실기(공저) 사)한국미술협회 한국 모두 이런 의미에서이다. 심우도는
화 분과위원, 삼성현미술대전 초대작가.
국내외 개인전 11회, 단체 및 그룹전 300 중생이 본래 갖추고 있는 청정한 성
여 회. 다수의 불사에 동참하였으며 현재
품을 소에 비유하여 일찍부터 선가禪
는 미술 이론과 실기 특히, 한국 불화의 현
대성 작업에 매진하고 있다. 家에서는 마음 닦는 일을 소 찾는[尋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