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2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72

서 보이는 연꽃이, 먼저 뿌리를 내리고 잎이 생
                               기고 꽃이 피어나 만개하고 열매를 맺는 과정과
                               관법수행 단계를 비유하였다. 그렇다면 반가상

                               은 사유관을 어떻게 표현하였을까?

                                 전  영주에서  출토된  청동반가상을  보자(사진
                               10). 높이 10.7cm 소형반가상은 왼손으로 턱을
                               받치고 있다. 두상과 보관 부분이 마치 피어나는

                               연꽃처럼 표현되었다. 중앙박물관 소장 반가사

                               유상(사진 11)은 높이 8.9cm 소형 반가상이며, 보
         사진10.  전 영주 출토 청동반가상,    관 부분 연꽃 모양이 전 영주출토 반가상과 같다.
              호림박물관 소장.
                               길고 갸름한 상호와 수골청상이 특징인 북위시
                               대 불상이다. 이와 같이 두 구의 반가상은 사유

                               관 수행 중에 보이는 연꽃을 보관 전체에 표현하
                               고 있다. 그렇다면 구 국보 78호(사진 9)의 보관은
                               과연 무엇을 사유관하는 것일까? 그리고 그의 상

                               호에서 보이는 그 묘한 미소는 무슨 의미인가?

                                 미륵상생신앙의 사유도상인 국보 78호 반가상
                               은 도솔천의 상세한 모습을 사유관하고, 도솔천

                               의 묘한 기쁨을 하나하나 사유하는 형상이다(一
                               一思惟 兜率陀天 上上妙快樂). 그가 도솔천 광경을 하
         사진11.  금동반가사유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나하나 사유관하는 동안 그곳의 기쁨과 희열이
                               미소를 띠게 하였다. 그의 보관은 사유관을 수행
                               하는 동안 관도솔천의 상세한 모습이 표현된 것

                               이다.



          70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