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1 - 고경 - 2023년 1월호 Vol. 117
P. 71

조와 일치한다.
               윈강석굴에는  이와  같은  독립된
             건축구조를 상징하는 미륵불감이 20

             여 개가 있다. 이와 같이 도솔천은 대

             부분 석굴 중앙의 불감 상층 혹은 천
             장화에 미륵상생경변으로 표현되었
             고, 도솔천 미륵보궁과 선법당의 공

             간분리는 미래세에 하생을 기다리는

             미륵의 역할과 불경에서 언급하는 시
             공간의 연속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표현하였다. 특히 만불동 벽

             화는 『상생경』의 내용과 거의 일치한

             다. 이는 불경을 읽고 사유관 수행을
             할 수 있는 승려와 지식인층뿐만 아
                                                사진 9.  구 국보 78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국
             니라 경전을 읽지 못하는 일반인들도                     보 78호의 보관은 선진 연구자들이 언
                                                     급한 것과 달리 필자는 도솔천의 미륵
             관도솔천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                     보궁 마니전을 중심으로 좌우 선법당
                                                     등 도솔천의 상세한 모습을 사유관하
             는 미륵상생신앙의 현실적인 일면을                      는 형상이라고 해석하였다. 사진 국립
                                                     중앙박물관.
             보여준다.



                반가상과 사유도상



               윈강 18굴 남벽 미륵불감(사진 1)은 하나의 불감 안에 삼존불이 앉아 사유
             관을 수행하는 사유도상이다. 원효는 『미륵상생경종요』에서 도솔천을 관

             하는 관법수행의 상징을 설명하였다. 그는 『상생경』의 내용 중 정관수행에



                                                                          69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