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9 - 퇴옹학보 제17집
P. 259
현대 한국불교 고승연구의 흐름과 성찰 • 259
글들이 소개되기는 했지만, 관련 연구성과를 꾸준히 수집하고 조사하
거나 체계적인 연구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그나마 한용운을 비롯한
근현대 불교계의 知性과 고승들에 관한 연구를 파악하기 위한 학계의
1)
미약한 시도는 있었다. 필자는 이글에서 전통시대 찬술된 고승전의 경
향이나 성격을 살피고,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1991년부터 2020년까지
불교학계의 대표적인 5개 학술지를 조사하여 고승연구의 수적 측면과
그 성격을 살피고자 한다.
근현대불교사 연구에서 인물연구는 과거 불교사에 대한 각론이자 총
체적 연구이며, 오늘날의 학술적 규명과 함께 현대한국불교의 숲과 나
2)
무를 체계적으로 살피는 기반을 제공할 것이다. 근대불교에 대한 개념
과 정체성 정립과 현대불교의 이정표가 마련되기 위해서 이 연구는 일
정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Ⅱ. 전통시대 고승연구의 배경과 기준
한국불교의 僧傳연구는 단순히 인물의 생몰과 업적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시대마다 불교의 위상과 가치를 이해할 수 있으며, 불교 지성
들의 불교사상과 불교역사 인식 역시 살필 수 있다. 현재까지 전하고 있
1) 전보삼(1980);이덕진(2006);김광식(2006);오경후(2018)
2) 근현대 고승연구는 사상과 포교, 개혁론 등 그 범위가 광범위하다. 단편 논문이 지닌 양적
한계로 고승들의 사상만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