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60 - 퇴옹학보 제17집
P. 260

260 • 『퇴옹학보』 제17집




            는 『海東高僧傳』과 『三國遺事』 「義解」·「神呪」편과 같은 고려시대의 僧

            傳은 단순한 인물소개에 그치지 않고 불교수용과 그 위상이나 가치를
            천명하기 위한 배경 속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우리나라 최

            초 승려들의 傳記集으로 알려진 김대문의 『고승전』이 통일신라 때 찬술

            된 지 약 500년 이후에 각훈이 『해동고승전』을 편찬하였다. 각훈이 “불
            교가 이미 중국 晋으로부터 우리나라에 들어와 행해졌기에 宋·齊시대

            에 응당 호걸들이 많이 있었을 것이고,” “중국으로 가서 불법을 물었던
            자 또한 적지 않았을 것임에도 당시 史家들이 기록을 남기지 않았음은

            한이 될 뿐”이라고 애석해하면서 이름을 잃어버린 고구려 승려에 대한
                           3)
            기록을 남긴 것은  일차적으로 불교수용과 그 유포의 의미를 기록으로
            남겨 후세에 전하고자 했던 각훈의 역사의식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비

            록 이역 땅에서 몸을 버리고 돌아오지 못했지만, 그 공명은 뛰어남이
            이와 같으니, 어찌 그 이름을 竹帛에 올려 후에 보이지 않을 것인가”라

            고 한 것에서도 그 의도는 분명해 보인다. 또한 「流通」편의 論에서 “周에

            서 근원이 흘러 漢에서 갈라졌으며, 晋과 魏에서는 양양하였고, 唐에서
            는 한만하였으며, 宋에서 물결이 일어 우리나라에 와서 깊이 흘렀다.”고

            이해했다. 각훈의 이같은 인식의 바탕에는 당시 고려불교에 대한 자긍

            심이 깊게 뿌리 박고 있음을 살필 수 있다.             4)
               『해동고승전』은 적지 않은 오류도 지니고 있고, 사료를 주관적으로

            해석한 경우도 보인다. 서술 또한 문학적 표현이나 윤색이 많은 편으로




            3)  김상현(1993), 121.
            4)  김상현(1993), 130.
   255   256   257   258   259   260   261   262   263   264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