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3 - 퇴옹학보 제18집
P. 63

성철선의 이해와 실천을 위한 시론 • 63





               이 된다.

                 구경무심론은 근본무명을 완전히 타파하여 아뢰야식을 벗어난 무심
               이라야 진정한 무심이며 견성의 조건이 된다는 점을 주장한다. 그것은

               제3장 「번뇌망상」을 중점 논의된 뒤 이후 제6장 무념정종, 제7장 보임

               무심, 제9장 「사중득활」, 제12장 「상적상조」의 장에서 거듭 논의된다.
                 구경무심론은 유식학의 논의를 적극 활용한 점, 제7식의 설정을 반

               대한 점, 몽중일여를 제7지 6추에 숙면일여를 자재위 3세에 배대한 점,

               무심의 범주를 아뢰야식의 3세 소멸로 한정한 점 등에서 성철선의 특
               징을 드러낸다.

                 다만 이것은 논의의 편의를 위해서이지 사실 전체 『선문정로』에서 이
               돈오원각론, 실참실오론, 구경무심론은 서로가 서로를 성립시키는 3위

               일체적 관계에 있다. 그것은 성철선을 지탱하는 3개의 솥발로서 함께 논

               의되는 경우가 더 많이 있다. 예컨대 「무생법인」 장의 다음과 같은 문장
               을 보자.




                    선문정전(禪門正傳)의 돈오는 망상이 멸진한 구경무생을 내용으로
                    한 원증(圓證)의 돈오이다. 선문의 오(悟)는 증(證)으로 생명삼아, 해

                    (解)는 망상정해(妄想情解) 사지악견(邪知惡見)으로서 근본적으로 부인
                    하며 절대 배척한다. 이유인즉 망상정해(妄想情解)로는 심성(心性)을
                    정오(正悟)하며 정견할 수 없기 때문이다.        60)







               60) 퇴옹성철(2015), 124.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