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고경 - 2016년 12월호 Vol. 44
P. 25
람들의 실참 과정과 그 산물이 보편언어로 전달되어야 해요.
지금 사람들이 쓰는 말로 표현이 되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실참의 방식과 과정 및 그 성과물이 현재인들의 언어와 삶
에 접속하여 설득과 공감을 일으킬 수 있어야 합니다. 선어
록에 나온 말들을 동어 반복하는 것은 이제 지양해야 합니
다. 그러자면 무엇보다 선종 구성원들이 현재인의 언어와 삶
과 만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합니다. 지적으로 설득할 수
있고 논리적으로 방어할 수 있으며 인문학적 통찰을 펼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학인들을 위한
교과과정부터 사찰 기능의 재구성까지, 다양한 측면에서 진
단과 대응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고승법회’와 같은 것으로 대
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얼마 전 서강대 서명원 교수가 성철 스님과 군부독
재정권의 ‘공진점’을 연결시킨 논문이 파문을 일으켰습니다.
또 최근에는 같은 내용의 영문을 한글로 발표했습니다. 어
떻게 평하실 수 있습니까?
▶ 학문을 한다고 하면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을 것이라
기대하고 전제하는 사유의 수준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
하면 연구의 균형성과 정밀성입니다. 서 교수의 글은 그런 기
대에 비추어보면 많이 부족합니다. 그래서 좀 의외였습니다.
왜 그럴까 하는 의아심마저 들었습니다. 열린 구도자라는 평
을 듣는 사람의 수준이 이 정도일까 하는 생각까지 했습니다.
2016.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