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고경 - 2017년 5월호 Vol. 49
P. 27

이 깊은 난다 스님이 주지로 계시는 곳으로 이곳에서 가사불

          사와 만발공양을 올렸다.
            알루비하라 지역의 어른스님들께서 다 오셨고, 지역 국회
          의원, 유지까지 다 모인 큰 행사가 되었다. 어른스님의 말씀이
          이어지는 동안 “사두!”를 되뇌며 삼십분 넘게 가사를 모시고
          서 있었다. 이마 위로 모시고 있던 가사의 높이가 점점 낮아

          진다.
            출발 전 여행사 관계자에게 난다 스님이 한국에 들어와 일
          을 보시고 스리랑카로 들어가신다는 말씀을 전해 들었기 때

          문에 나름 큰스님께 누가 되지 않게 대중들의 관심을 잘 살펴
          야 했다. 알루비하라의 대광명사는 붓다고사 스님이 『청정도
 알루비하라 대광명사에 모셔진
 붓다고사 스님 상  론』을 쓰신 유서 깊은 절로서 상좌부의 중심 사찰이다. 사찰
          에는 붓다고사 스님의 상이 모셔져 보관되고 있었다. 동상 앞
 갈비하라에서 재를 올리고 담불라의 다섯 석굴 앞에 선다.   에서 스님께 깊은 목례를 보낸다. 붓다고사 스님 같은 분이 계

 인도의 아잔타 석굴과 엘로라 석굴, 돈황의 막고굴을 다녀왔  셔서 오늘의 남방 상좌부 불교의 불씨가 끊이지 않는 것인지
 기 때문인지 담불라 석굴의 ‘예술성’을 생각해 보았다.   도 모른다. 영국의 침략으로 동굴 속에 숨겨둔 패엽경의 상좌
          부 경전은 1830년경 옥스포드 대학으로 옮겨져 아직까지도

 인도,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   스리랑카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사두(sadhu)! 사두(sadhu)! 은둔 수행자를 일러 ‘사두’라 하  난다 스님이 한국에 들어오셨다가 우리 일행들과 함께 스
 는데 스리랑카에서는 또 다른 의미를 갖는다. 직역하면 ‘제발’,   리랑카로 오셨기 때문에 일정도 빡빡하고 여유도 없을 터였지
 ‘부디’란다. 법회 때 스님이 “이 땅에 자비를 내려주소서.”라고   만 스님께서는 최선을 다해 대중들을 대접해 주셨고, 우리 역
 창하면 대중들은 “사두! 사두!”라 응답한다. 이때 “부디 그렇  시 그 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게 되도록 해 주시옵소서.” 의미의 사두다.  대중들이 천도재를 지내며 거둔 공양 보시금을 회주스님
 알루비하라에 위치한 패엽경 사찰 대광명사는 한국과 인연  께서 꼼꼼하게 챙겨 대광명사, 스리랑카 종정스님 및 어른스



 ● 고경  2017. 05.                                            24 25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