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1 - 고경 - 2018년 11월호 Vol. 67
P. 41

문자와 책의 향기 3



                        삼예종론과  『수습차제삼편』

            *  문자와 책의 향기 3.      삼예종론과 『수습차제삼편』
                 * 문자와 책의 향기 3.      삼예종론과 『수습차제삼편』
 *  문자와 책의 향기 3.      삼예종론과 『수습차제삼편』   G  G       화중우火中牛 | 불교학자·티벳불교
 G          GGGG GGG GGG GGG GGG G GGGG GGG GGG GGG GGG G GGGG GGG G G G G 화중우火中牛G £G 불교학자ㆍ티벳불교G
                 GGGG GGG GGG GGG GGG G GGGG GGG GGG GGG GGG G GGGG GGG G G G G 화중우火中牛G £G 불교학자ㆍ티벳불교G
            G
                 G
 GGGG GGG GGG GGG GGG G GGGG GGG GGG GGG GGG G GGGG GGG G G G G 화중우火中牛G £G 불교학자ㆍ티벳불교G
 G           토번왕조G 제Z_대G 짼뽀O왕의G 티벳식G 명칭PG 치송데짼Oཁྲི་སྲོང་ལྡེ་བཙན། ^[Y¥^\\¥^`^P 1 이G 통치하던G
                 토번왕조G 제Z_대G 짼뽀O왕의G 티벳식G 명칭PG 치송데짼Oཁྲི་སྲོང་ལྡེ་བཙན། ^[Y¥^\\¥^`^P 1 이G 통치하던G
 토번왕조G 제Z_대G 짼뽀O왕의G 티벳식G 명칭PG 치송데짼Oཁྲི་སྲོང་ལྡེ་བཙན། ^[Y¥^\\¥^`^P 1 이G 통치하던G
            ^`Y¥^`[년G 불교사G 및G 사상사적으로G 주목할만한G 교리논쟁이G 티벳불교G 역사상G 처음으 처음으
                 ^`Y¥^`[년G 불교사G 및G 사상사적으로G 주목할만한G 교리논쟁이G 티벳불교G 역사상G
 ^`Y¥^`[년G 불교사G 및G 사상사적으로G 주목할만한G 교리논쟁이G 티벳불교G 역사상G 처음으  ཁྲི་སྲོང་ལྡེ་བཙན།  742~755~797) 1) 유명한G 유명한G
            로G 불ㆍ법ㆍ승을G 완벽히G 갖춘G 채G 건립된G 사찰G 삼예사Oབསམ་ཡས་དགྲོན་པ།P에서G 벌어졌다UG
                 로G 불ㆍ법ㆍ승을G 완벽히G 갖춘G 채G 건립된G 사찰G 삼예사Oབསམ་ཡས་དགྲོན་པ།P에서G 벌어졌다UG
              토번왕조 제38대 짼뽀(왕의 티벳식 명칭) 치송데짼(
 로G 불ㆍ법ㆍ승을G 완벽히G 갖춘G 채G 건립된G 사찰G 삼예사Oབསམ་ཡས་དགྲོན་པ།P에서G 벌어졌다UG 유명한G
            삼예종론宗論O돈점논쟁頓漸之諍ㆍ토번승쟁吐蕃僧諍P이G 바로G 이것이다UG 당시G 한반도는G
                 삼예종론宗論O돈점논쟁頓漸之諍ㆍ토번승쟁吐蕃僧諍P이G 바로G 이것이다UG 당시G 한반도는G
            이 통치하던 792~794년 불교사 및 사상사적으로 주목할만한 교리논쟁이
 삼예종론宗論O돈점논쟁頓漸之諍ㆍ토번승쟁吐蕃僧諍P이G 바로G 이것이다UG 당시G 한반도는G
            원성왕O재위G ^_\¥^`_P이G 다스리던G 통일신라시대였고SG 당나라는G 덕종O^[Y¥^^`¥_W\P이G 통이G 통
                 원성왕O재위G ^_\¥^`_P이G 다스리던G 통일신라시대였고SG 당나라는G 덕종O^[Y¥^^`¥_W\P
 원성왕O재위G ^_\¥^`_P이G 다스리던G 통일신라시대였고SG 당나라는G 덕종O^[Y¥^^`¥_W\P이G 통
            치하며G 그런대로G 성세盛世를G 유지하고G 있었다UG 인도에서G 토번에G 온G 샨타락시타O적호UG적호UG
                 치하며G 그런대로G 성세盛世를G 유지하고G 있었다UG 인도에서G 토번에G 온G 샨타락시타O
            티벳불교 역사상 처음으로 불·법·승을 완벽히 갖춘 채 건립된 사찰 삼
 치하며G 그런대로G 성세盛世를G 유지하고G 있었다UG 인도에서G 토번에G 온G 샨타락시타O적호UG  Y  Y
                 보디사따P 와G 파드마삼바바O연화생PG 등의G 제안으로G ^^\년부터G ^_^년까지G XY년에G
            보디사따P 와G 파드마삼바바O연화생PG 등의G 제안으로G ^^\년부터G ^_^년까지G XY년에G 걸쳐G 걸쳐G
 Y
 보디사따P 와G 파드마삼바바O연화생PG 등의G 제안으로G ^^\년부터G ^_^년까지G XY년에G 걸쳐G  Z )에서 벌어졌다. 유명한 삼예종론宗論(돈점논쟁頓漸之諍·토번승
                            Z
            건립된G 삼예사
                བསམ་ཡས་དགོན་པ།는G 호카G 지방G 야루짱뽀G 강가에G 자리잡고G 있으며SG 지금도G 진리의G 등불이G
            예사( 건립된G 삼예사 는G 호카G 지방G 야루짱뽀G 강가에G 자리잡고G 있으며SG 지금도G 진리의G 등불이G
 Z
 건립된G 삼예사 는G 호카G 지방G 야루짱뽀G 강가에G 자리잡고G 있으며SG 지금도G 진리의G 등불이G
                 이어지고G 있다UG 바로G 이G 사찰에서G ‘인도불학과G 연계된G 파‚점문파漸門派„’와G ‘중국
            이어지고G 있다UG 바로G 이G 사찰에서G ‘인도불학과G 연계된G 파‚점문파漸門派„’와G ‘중국G 선종G 선종
            쟁吐蕃僧諍)이 바로 이것이다. 당시 한반도는 원성왕(재위 785~798)이 다스리
 이어지고G 있다UG 바로G 이G 사찰에서G ‘인도불학과G 연계된G 파‚점문파漸門派„’와G ‘중국G 선종
            과G 관련G 있는G 파‚돈문파頓門派„’가G 토번불교의G 주류G 자리를G 놓고G 불꽃G 튀는G 쟁론을G 벌
                 과G 관련G 있는G 파‚돈문파頓門派„’가G 토번불교의G 주류G 자리를G 놓고G 불꽃G 튀는G 쟁론을G 벌
 과G 관련G 있는G 파‚돈문파頓門派„’가G 토번불교의G 주류G 자리를G 놓고G 불꽃G 튀는G 쟁론을G 벌
            인G 것이다UG
                 인G 것이다UG
            던 통일신라시대였고, 당나라는 덕종(재위 779~805)이 통치하며 그런대로
 인G 것이다UG    불교사에서G 보기G 드문G 논쟁이SG ]Z`년G 즈음에서야G 비로소G 불교가G 전파되고G 공인된G 토된G 토
                 불교사에서G 보기G 드문G 논쟁이SG ]Z`년G 즈음에서야G 비로소G 불교가G 전파되고G 공인
 불교사에서G 보기G 드문G 논쟁이SG ]Z`년G 즈음에서야G 비로소G 불교가G 전파되고G 공인된G 토
            번에서G 벌어진G 이유는G 무엇일까fG 쟁론이G 벌어진G 이유에G 대해서는G 여러G 주장들이
                 번에서G 벌어진G 이유는G 무엇일까fG 쟁론이G 벌어진G 이유에G 대해서는G 여러G 주장들이G
            성세盛世를 유지하고 있었다. 인도에서 토번에 온 샨타락시타(적호. 보디사G 있다UG있다UG
 번에서G 벌어진G 이유는G 무엇일까fG 쟁론이G 벌어진G 이유에G 대해서는G 여러G 주장들이G 있다UG
            학자들의G 설명을G 종합하면G 교리해석과G 수행방식의G 차이SG 왕실과G 귀족G 사이의G 권력투쟁G
                 학자들의G 설명을G 종합하면G 교리해석과G 수행방식의G 차이SG 왕실과G 귀족G 사이의G 권력투쟁G
              2)
            따) 와 파드마삼바바(연화생) 등의 제안으로 775년부터 787년까지 12년에
 학자들의G 설명을G 종합하면G 교리해석과G 수행방식의G 차이SG 왕실과G 귀족G 사이의G 권력투쟁G
                 등이G 복합적으로G 작용한G 것으로G 보인다UG 겉으로는G 교리논쟁으로G 비춰지나G 왕실과G
            등이G 복합적으로G 작용한G 것으로G 보인다UG 겉으로는G 교리논쟁으로G 비춰지나G 왕실과G 귀족G 귀족G
 등이G 복합적으로G 작용한G 것으로G 보인다UG 겉으로는G 교리논쟁으로G 비춰지나G 왕실과G 귀족G  3)
            걸쳐 건립된 삼예사 는 호카 지방 야루짱뽀 강가에 자리잡고 있으며, 지금
            사이의G 정치투쟁적G 성격도G 이면에G 결부되어G 있다는G 것이다UG 고대G 토번의G 역사를G 기록G 기록
                 사이의G 정치투쟁적G 성격도G 이면에G 결부되어G 있다는G 것이다UG 고대G 토번의G 역사를
 사이의G 정치투쟁적G 성격도G 이면에G 결부되어G 있다는G 것이다UG 고대G 토번의G 역사를G 기록
                 한G 책G 『바세དབའ་བཞྡེད།』에G 쟁론이G 발생된G 배경을G 알려주는G 기록이G 전한다UG 약간G
            한G 책G 『바세དབའ་བཞྡེད།』에G 쟁론이G 발생된G 배경을G 알려주는G 기록이G 전한다UG 약간G 길지만G 길지만G
            도 진리의 등불이 이어지고 있다. 바로 이 사찰에서 ‘인도불학과 연계된 파
 한G 책G 『바세དབའ་བཞྡེད།』에G 쟁론이G 발생된G 배경을G 알려주는G 기록이G 전한다UG 약간G 길지만G
            자세하게G 분석할G 필요가G 있다UG G 있다UG G
                 자세하게G 분석할G 필요가G
 자세하게G 분석할G 필요가G 있다UG G  G  G
            [점문파漸門派]’와 ‘중국 선종과 관련 있는 파[돈문파頓門派]’가 토번불교의 주류
 G          “①양의G 해G 겨울 G 삼예사에서G 성대하게G 점안법회를G 한G 후G ……G 짼뽀가G 말했다UG ……대신G
                         [
                             [
                 “①양의G 해G 겨울 G 삼예사에서G 성대하게G 점안법회를G 한G 후G ……G 짼뽀가G 말했다UG ……대신G
 [
 “①양의G 해G 겨울 G 삼예사에서G 성대하게G 점안법회를G 한G 후G ……G 짼뽀가G 말했다UG ……대신G           \   \
                 이하G 모든G 신하들은G O불교를G 믿기로PG 맹세하고는G 맹세문을G 새긴G 비를G 세웠다U G
            이하G 모든G 신하들은G O불교를G 믿기로PG 맹세하고는G 맹세문을G 새긴G 비를G 세웠다U G ……G 후 ……G 후
           \
 이하G 모든G 신하들은G O불교를G 믿기로PG 맹세하고는G 맹세문을G 새긴G 비를G 세웠다U G ……G 후
            일G 예세왕뽀가G 깨달음을G 얻자G 짼뽀G 치송데짼이G 말했다UG ‘당신은G 우리G 왕과G 백성들의G 선
                 일G 예세왕뽀가G 깨달음을G 얻자G 짼뽀G 치송데짼이G 말했다UG ‘당신은G 우리G 왕과G 백성들의G 선
 일G 예세왕뽀가G 깨달음을G 얻자G 짼뽀G 치송데짼이G 말했다UG ‘당신은G 우리G 왕과G 백성들의G 선


                                              1)   742년은 태어난 해, 755년은 즉위한 해, 797년은 타계한 해를 각각 나타낸다. 이하 동일하다. 티벳인 티벳인티벳인
                 1
            1
                  ^[Y년은G 태어난G 해SG ^\\년은G 즉위한G 해SG ^`^년은G 타계한G 해를G 각각G 나타낸다UG 이하G 동일하다UG
                ^[Y년은G 태어난G 해SG ^\\년은G 즉위한G 해SG ^`^년은G 타계한G 해를G 각각G 나타낸다UG 이하G 동일하다UG
 1  ^[Y년은G 태어난G 해SG ^\\년은G 즉위한G 해SG ^`^년은G 타계한G 해를G 각각G 나타낸다UG 이하G 동일하다UG 티벳인
             의 생졸년은 다음 책에 의거한다. བསྲོད་ནམས་དྲོན་གྲུབ་ཀྲིས་བརྩམས། གངས་ཅན་མྲི་སྣ་གྲགས་ཅན་གྲི་འཁྲུངས་འདས་ལྲོ་ཚིགས་རྡེའུ་མྲིག པྡེ་ྡེའུ་མྲིག པྡེ་
                 의G 생졸년은G 다음G 책에G 의거한다UG བསྲོད་ནམས་དྲོན་གྲུབ་ཀྲིས་བརྩམས། གངས་ཅན་མྲི་སྣ་གྲགས་ཅན་གྲི་འཁྲུངས་འདས་ལྲོ་ཚིགས་ར
            의G 생졸년은G 다음G 책에G 의거한다UG
            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༢༠༠༥ལྲོ། G༠༠༥ལྲོ། G
 의G 생졸년은G 다음G 책에G 의거한다UG བསྲོད་ནམས་དྲོན་གྲུབ་ཀྲིས་བརྩམས། གངས་ཅན་མྲི་སྣ་གྲགས་ཅན་གྲི་འཁྲུངས་འདས་ལྲོ་ཚིགས་རྡེའུ་མྲིག པྡེ་ 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༢
 ཅྲིན། མྲི་རྲིགས་དཔྡེ་སྐྲུན་ཁང་། ༢༠༠༥ལྲོ། G  2)  생졸년은 대략 725~783년. 763년과 771년 초청을 받고 토번에 들어와 불교를 가르쳤다. 유식사상 유식사상과G
            2
                 2
                  생졸년은G 대략G ^Y\~^_Z년UG^]Z년과G ^^X년G 초청을G 받고G 토번에G 들어와G 불교를G 가르쳤다UG
                생졸년은G 대략G ^Y\~^_Z년UG^]Z년과G ^^X년G 초청을G 받고G 토번에G 들어와G 불교를G 가르쳤다UG 유식사상과G
 2  생졸년은G 대략G ^Y\~^_Z년UG^]Z년과G ^^X년G 초청을G 받고G 토번에G 들어와G 불교를G 가르쳤다UG 유식사상과G 중관사상을G 결합한G 유가행중관자립논증파의G 창시자이다UG 三枝充悳編SG 『インド仏教人名辭典』SG
             과 중관사상을 결합한 유가행중관자립논증파의 창시자이다. 三枝充悳編, 『インド仏教人名辭典』, 京 京都a法 京都a法
            중관사상을G 결합한G 유가행중관자립논증파의G 창시자이다UG 三枝充悳編SG 『インド仏教人名辭典』SG
             都:法藏館, 1987, pp.117~118.
 중관사상을G 결합한G 유가행중관자립논증파의G 창시자이다UG 三枝充悳編SG 『インド仏教人名辭典』SG 京都a法 藏館SGX`_^SG——UXX^~XX_UG
            藏館SGX`_^SG——UXX^~XX_UG
            3
 藏館SGX`_^SG——UXX^~XX_UG  3)  삼예사 주전主殿은 3층이다. 1층은 티벳 건축양식으로, 2층은 중국식으로, 3층은 인도 건축양식으로
                 3
                  삼예사G 주전主殿은G Z층이다UGX층은G 티벳G 건축양식으로SGY층은G 중국식으로SGZ층은G 인도G 건축양식으로G 지
                삼예사G 주전主殿은G Z층이다UGX층은G 티벳G 건축양식으로SGY층은G 중국식으로SGZ층은G 인도G 건축양식으로G 지
             지워졌다.
 3  삼예사G 주전主殿은G Z층이다UGX층은G 티벳G 건축양식으로SGY층은G 중국식으로SGZ층은G 인도G 건축양식으로G 지
            워졌다UG 워졌다UG
 워졌다UG      4  이G 해가G ^_^년이라는G 설과G ^^`년이라는G 설이G 있다UG 후자를G 주장하는G 학자들은G 삼예사가G ^^\년에G 건
                 4
                  이G 해가G ^_^년이라는G 설과G ^^`년이라는G 설이G 있다UG 후자를G 주장하는G 학자들은G 삼예사가G ^^\년에G 건
 4  이G 해가G ^_^년이라는G 설과G ^^`년이라는G 설이G 있다UG 후자를G 주장하는G 학자들은G 삼예사가G ^^\년에G 건 립되기G 시작해G \년만인G ^^`년에G 완공됐다고G 주장한다UG 여기서는G 전자의G 학설을G 따른다UG G
            립되기G 시작해G \년만인G ^^`년에G 완공됐다고G 주장한다UG 여기서는G 전자의G 학설을G 따른다UG G
                 5
 립되기G 시작해G \년만인G ^^`년에G 완공됐다고G 주장한다UG 여기서는G 전자의G 학설을G 따른다UG G  5  이G 비는G 지금도G 삼예사G 대전G 정문G 오른쪽에G 세워져G 있다U   있다U     39
                  이G 비는G 지금도G 삼예사G 대전G 정문G 오른쪽에G 세워져G
 5  이G 비는G 지금도G 삼예사G 대전G 정문G 오른쪽에G 세워져G 있다U     1   1
 1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