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3 - 고경 - 2018년 11월호 Vol. 67
P. 83

를 내면 조화는 무너지고 대립과 갈등만 존재한다. 어느 한쪽은 반드시 무
            력無力이 되어 자기 소리를 양보해야만 타협이 되고 조화의 길이 열린다.
              ‘하나’와 ‘많음’이 서로 포섭하려면 한쪽은 유력이고 한쪽은 무력이 되어

            야 한다. 다 같이 자신을 드러내는 유력이 되면 수많은 주의주장들이 뒤엉

            켜 소음이 되고 말기 때문이다. 어떤 주장이 합당하면 그 주장이 전면에 드
            러나는 유력이 되고, 다른 주장은 숨어주는 무력이 되어야 한다. 그 때 비
            로소 하나의 의견은 전체를 함축하는 또렷하고 힘 있는 소리가 된다.

              그렇게 탄생한 주장은 다른 모든 견해를 배제한 독단적 주장이 아니다.

            그 속에는 무수히 많은 견해들을 함축하고, 수많은 소리를 대표하게 된다.
            우리가 뽑은 대표나 지도자들은 자기만의 견해를 갖고 있지만 그 속에는
            무수한 유권자의 선택이 숨어 있다. 이런 이치를 수용할 때 하나와 많음이

            서로 대립하지 않고 화합할 수 있다. 결국 제법무애도리를 잘 이해할 때 우

            리는 현실에서 조화와 공존을 만들어가는 지혜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서재영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선의 생태철학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 연
             구교수, 조계종 불학연구소 선임연구원, 불교신문 논설위원 등을 거쳐 현재 불광연구원 책임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 『선의 생태철학』 등이 있으며, 포교 사이트 www.buruna.org를 운영하고 있다.



                                                                        81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