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9 - 고경 - 2018년 12월호 Vol. 68
P. 159

97)
                                                                      99)
                                                             98)
            實義, 實義即空.”  《清涼鈔》云: “不可不見實義而得道也.”  以生空  亦
            雙空之一分, 又何太異, 故前云等觀.
              ④ “만약 성문과 연각이 이 이치를 깨닫지 못하면 즉시 잘못된 인식으
            로 변하고 만다.” 여기에 두 가지 설명이 있다. 첫 번째 설명: 삼승 가운데

            이승(성문·연각)만이 그렇다는 것이다. 만약 소승이 성공의 이치를 깨닫지
            못하면 즉시 전도되어 증오의 과보를 얻을 수 없다, 이승은 다만 무상無
            常만 알고 상常을 알지 못하기에 전도된다, 이는 대소승의 형태에 대해서

            도 마찬가지로 말할 수 있다, 즉 소승도 이러한데 ‘하물며 대승이야 더 말

            해 무엇 하겠는가?’라는 의미를 가진다. 두 번째 설명: 앞에서 삼승이라 했
            다. 이는 통교에서 배워야만 되는 법공法空을 말한다. 즉 동등하게 실상을
            체득하면 정관이 된다. 지금 이 이승은 바로 장교에 속하는 자들로 법이

            공空임을 모르는 사람들이다. (그래서 이 구절의 의미는) 만약 법공을 모르는

            성문과 연각도 반드시 성공의 이치를 관찰하고서 깨달음을 얻는데, 만약
            이 치를 모르면 전도되고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대방광불화엄경소』에
            서 청량징관은 “나는 삼장 가운데의 진실한 뜻을 지금 바로 밝힌다. 진실

            한 뜻은 바로 공을 말한다.”는 『성실론』의 구절을 인용해 유교를 비판했다.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에서 “진실한 뜻을 알지 못하면 깨달을 수 없
            다.”고 말했다. 아공 역시 두 가지 공[아공·법공]의 하나이다. 무슨 큰 차이
            가 있겠는가! 그래서 앞에서 ‘등관等觀’이라고 했다.

              “是以三乘觀法無異,  但心有大小為差耳.” 所趣實相唯一,  能趣根宜成





            97) 청량징관의 『대방광불화엄경소 권제1』에 나오는 말이다.
            98) 청량징관의 『대방광불화엄경수소연의초 권제6』에 나오는 구절이다.
            99) 생공生空은 아공我空을 가리킨다. 인무아人無我를 말한다.



                                                                        157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