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7 - 고경 - 2019년 3월호 Vol. 71
P. 147

진리는 언어·가르침·개념을 벗어나 홀로 고요히 존재한다. 어찌 글과

            말로 진리를 분명하게 밝히겠느냐? 그러나 침묵하지 못하고 말에 의지해
            간략하게나마 진리를 논술하고자 한다.


                                          116)
                     115)
              [4] ①[1]  試論之曰: 《摩訶衍論》 云: “諸法亦非有相, 亦非無相.” 《中
               117)
                                        118)
            論》 云: “諸法不有不無者, 第一 真諦也.” ②[2] 尋夫不有不無者, 豈謂
              119)
                                                                  122)
                                                              121)
                                                                      123)
                                    120)
            滌 除萬物, 杜塞視聽, 寂寥 虛豁, 然後為真諦者乎? 誠以 即 物 順
            通, 故物莫之逆; 即偽即真, 故性莫之易. 性莫之易, 故雖無而有; 物莫之
            逆, 故雖有而無. 雖有而無, 所謂非有; 雖無而有, 所謂非無. 如此則非無物
            也, 物非真物. 物非真物, 故於何而可物?
              [4] ①[1] 시험 삼아 말해 보겠다. 『마하연론(대지도론)』은 “제법[모든 사

            물과 관념]은 모습이 있는 것도 아니고, 모습이 없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씀하셨다. 『중론』은 “모든 사물과 관념은 있는 것도 아니고 없는 것도

            아니라는 이것이 최고의 진리이다.”라고 말씀하셨다. ②[2] (위의) 두 논이
            말한 ‘불유불무’라는 것을 탐구해 보면, 어찌 (생각 속에서) 만물을 없애고,

            보고 듣는 것을 틀어막고, 소리도 사물도 그 무엇도 없이 텅 비어야 진리






            115)  이하 [1]부터 [9]까지는 승조가 경론을 인용하고 이치를 들어 공사상을 설명한 것이다.


            116)  구마라집이 405년 한역漢譯했다.

            117)  구마라집이 409년 한역漢譯했다.
            118)  ‘제일第一’은 ‘유일唯一’이라는 의미다.


            119)  척滌은 동사로 ① 씻다, 빨래하다. ② 청소하다. ③ 제거하다 등의 의미가 있다. ‘척죄소滌罪所’는 ‘연
               옥煉獄’이라는 뜻이다.

            120)  소리가 없는 것이 적寂이고, 사물이 없는 것이 요寥이다.
            121)  성誠은 ‘참으로, 진실로’라는 의미다.


            122)  즉即은 파악하다는 의미다.

            123)  물物은 사물의 본성, 즉 ‘비유비무적인 존재’의 본성을 말한다.
                                                                        145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