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4 - 고경 - 2019년 3월호 Vol. 71
P. 84

허암 거사와 배우는 유식 7



                             ‘의식’이란 무엇인가



                                                         허암 | 불교학자·유식





             지난 호에서는 표층의 마음인 전前오식[안식, 이식, 비식, 설식, 신식]을 설

           명했습니다. 이번 호에서는 표층의 마음인 ‘의식(意識, consciousness)’에 대
           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의식은 어떤 작용을 하는 마음일까요? 이전 글에

           서 의식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기술했습니다.




                1.  의식은 전오식의 활동을 바탕으로 대상을 종합적으로 판단
                  사유하는 마음인 동시에 전오식에 제약을 받는 마음이다.

                2.  의식은 전오식과 함께 작용하여 감각을 선명하게 해주는 마

                  음이다.

                3.  의식은 전오식 배후에서 ‘언어’를 사용하여 대상을 개념적으

                  로 ‘사고’하는 마음이다.



             첫 번째로 전오식 즉 안식眼識은 안근眼根을 매개로 색경色境, 이식은

           이근을 매개로 성경, 비식은 비근을 매개로 향경, 설식은 설근을 매개로
           미경, 신식은 식근을 매개로 촉경을 각각 대상으로 삼습니다. 반면 의식

           은 의근을 바탕으로 전오식의 대상[법경] 전체를 대상으로 삼아 종합하여
           판단 사유합니다.






           82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