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5 - 고경 - 2019년 3월호 Vol. 71
P. 85
그래서 의식은 ‘전오식[감각]’에 의해 인식 범위가 한정되는 마음입니
다. 다시 말해 의식은 자신의 지식, 경험, 환경 등에 의해 인식 대상[범
위]이 한정됩니다. 예를 들어 봅시다. 우리들은 같은 신문, 같은 지면, 같
은 기사를 읽어도 관심분야나 가치관이 다르면 기사 내용도 다르게 보일
뿐만 아니라 기억하는 내용도 다릅니다. 게다가 시력[전오식]의 능력 차이
때문에 자외선이나 적외선을 볼 수 없으며, 청각의 능력 차이 때문에 돌
고래처럼 고주파를 들을 수 없으며, 개나 늑대처럼 후각이 뛰어나지 않
기 때문에 미세한 냄새는 잘 맡을 수 없습니다. 이처럼 의식은 감각[전오
식]에 의해 인식대상이 제약을 받습니다.
의식 - 감각에 한정되는 마음
그런데 중국 법상종에서는 의식을 전오식과 관련시켜 오구의식과 불
구의식으로 나눕니다. 오구의식(五俱意識, 전오식과 함께하는 의식)이란 의식
이 전오식과 관계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말하는데, 오동연의식과 부동연
의식으로 다시 세분합니다. 먼저 오동연의식五同緣意識이란 의식이 전前오
식[五]과 동일한[同] 대상[緣]에 집중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책을 읽을 때 안식이 글자를 보고 있고, 의식도 또한 그것에 집중하여 책
의 내용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반면 부동연의식(不同緣意識, 전오식과 동일한
대상에 집중하지 않는 의식)이란 감각이 활동하고 있는 것은 오동연의식과 동
일하지만, 의식이 전오식과는 다른 것을 생각하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안식이 책을 보고 있지만 의식은 다른 생각을 하는 것입니다.
불구의식不俱意識은 의식이 전오식과는 별도로 활동하는 상태를 말합
니다. 불구의식은 다시 오후의식과 독두의식으로 세분합니다. 먼저 오후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