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고경 - 2019년 4월호 Vol. 72
P. 39

돈오의 법을 왕후장상이 본래 정해져 있는 종족이 아님을 말하고, 그 예로

            순임금과 부열을 들고 있다. 법은 오래 닦아 공덕을 쌓아 기나긴 세월 동안
            얻는 법이 아니라 마음 밖에 얻을 것이 없음을 단박 깨치면 이 자리가 법성

            의 자리이고, 이 한 생각이 공덕의 보장고가 된다는 것이다. 닦음과 닦을
            것 없음을 논하는 것이 마음을 스스로 비추어 살핌만 같지 않으며, 또한 밖

            으로 구하는 자는 자성을 얻을 수 없음에 대한 가르침을 설파하고 있다.



                한 바다에 많은 물고기들 노니는데                일해중어유一海衆魚游
                물고기들 저마다 한 큰 바다 가지고 있네. 각유일대해各有一大海

                바다는 분별심이 없으니                      해무분별심海無分別心
                모든 부처의 법 이와 같을 뿐이네.               제불법여시諸佛法如是



              청매의 개체적 존재로서 중생을 바라보는 선적 직관이 분명하다. 바다

            속의 물고기가 크고 작고, 생긴 것이 다를지라도 저마다 존엄한 존재로서
            하나의 바다를 차지한다. 이 점에서 물고기는 평등하다는 것임을 설하고

            있다. 이는 의상대사 「법성게」의 ‘일중일체다중일一中一切多中一’의 세계이
            기도 하다. 한 바다에 많은 고기들이 살아가고 있다는 것은 하나 가운데

            여럿이 있음[一中多]을 비유한 것이고, 물고기들 저마다 한 큰 바다를 가지
            고 있다고 한 것은 여럿 가운데 하나[多中一]를 언급한 것이다. 바다의 입

            장에서 보면 물고기들은 바다 안에 있는 각각 개체들이지만, 물고기의 입
            장에서 보면 물고기들에게는 한 바다는 각각의 바다가 된다. 이때 물고기

            는 전체가 되고 각각의 바다는 또 각각의 개체가 되는 것이다. 하지만 바
            다는 물고기를 품고 있다는 생각도, 물고기는 내 바다라는 생각을 하지

            않는다. 이러한 무념의 경지는 사량 분별로 헤아려질 수 있는 세계가 아



                                                                        37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