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고경 - 2019년 6월호 Vol. 74
P. 22

린아이는 마땅히 전륜성왕이 되어 화씨성[花氏城, 오늘날의 파트나]에서 법

           을 다스리는 아서가阿恕伽라는 왕이 될 것이다. 그리고 나의 사리를 나누
           어 8만4천의 보탑을 만들어 많은 사람들을 풍요롭고 이익 되게 할 것이

           다.” 이 이야기는 『아육왕전』 제1권에 전하는 것으로, 아서가왕은 인도를
           최초로 통일한 마우리야 제국의 아소카왕을 의미한다.

             어린아이가 흙을 보시한 이 이야기는 중국의 운강석굴을 비롯한 여러
           석굴 사원과, 불탑의 표면에 즐겨 새겨지는 이야기 가운데 하나였다. 또

           한 우리나라 『삼국유사』에도 비슷한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아소카왕이 전생에 어린 아이였을 때 부처님께 바친 흙에 대한 이야

           기는 『아육왕경』을 비롯한 여러 경전에도 보인다. 특히 『아육왕경』 제2권
           에는 우파굽다를 만난 아소카왕이 그의 몸이 부드러움을 찬탄하자 “나

           는 수승한 공양으로써 불·세존께 공양했으나 왕이 흙[모래]으로 여래께
           받들어 보시한 것에 미치지 못한다.”고 대답한 이야기가 있다. 아소카왕

           은 “나는 옛날에 아이의 마음으로 흙[모래]을 부처님께 바침으로써 복전福
           田을 만났으며 이 때문에 지금의 왕이 되었다”고 말하고 있다. 이 대화는

           아소카왕이 부처님께 흙[모래]을 보시한 공덕으로 현재의 왕이 되었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간다라 불전미술 가운데 어린아이가 부처님 발우에 흙을 보시하는 에
           피소드를 표현한 작품은 여러 점이 남아 있는데, 아소카왕의 전생담이 아

           니라 쿠샨제국 카니시카왕의 전생 이야기를 표현된 것으로 추정된다. 파
           키스탄의 스와트박물관에 소장된 「어린아이의 흙 보시」 불전도(사진 4)는

           중앙에 발우를 내민 부처님과 삼각형의 모자와 원피스를 입고 흙을 보시
           하는 어린 아이가 표현되었다.

             옷을 입지 않은 합장한 어린 아이와 아이들의 어머니로 짐작되는 여인



           20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